불상 디자인으로 특허를 받으려다 거절당한 사례를 소개하며, 디자인 특허, 즉 '의장'의 창작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어떤 단체에서 새로운 와불상(누워있는 불상) 디자인으로 의장등록을 신청했습니다. 하지만 특허청은 이미 존재하는 와불상과 너무 유사하다는 이유로 거절했고, 이에 불복하여 소송까지 이어졌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기존 와불상과 새로운 와불상 디자인을 꼼꼼히 비교했습니다. 새로운 디자인은 머리 뒤쪽 연꽃 장식이나 받침대 모양, 가사(袈裟) 모양 등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었지만, 전체적인 모습은 기존 와불상과 매우 유사했습니다.
결국 법원은 새로운 디자인이 기존 와불상을 단순히 모형화한 것에 불과하며, 업계의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기존 와불상을 보고 쉽게 생각해낼 수 있는 수준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즉, 창작성이 부족하여 의장등록을 받을 수 없다는 결론입니다.
의장의 창작성이란 무엇일까요?
이 사건을 통해 의장의 창작성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알 수 있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결론
디자인 특허를 받기 위해서는 단순한 변형을 넘어, 새로운 미적 가치를 창출해야 합니다. 이번 사례는 기존 디자인과 차별성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면 의장등록이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새로운 디자인을 개발할 때는 이러한 점을 유의해야 할 것입니다.
특허판례
기존 벽시계 디자인과 비슷하지만 문자판과 시침 디자인을 다르게 하여 새로운 미감을 만들었다면, 특허로 인정될 수 있다.
민사판례
이미 잡지에 실린 쏘스팬 사진과 유사한 디자인으로 의장등록을 받았더라도, 사진 속 디자인과 핵심적인 부분이 같고 차이점이 단순한 변형에 불과하다면 의장등록은 무효가 될 수 있다.
특허판례
신발끈 고리 디자인의 특허 분쟁에서, 비슷한 기존 디자인과 비교했을 때 세부적인 차이가 있더라도 전체적인 모양과 느낌이 유사하면 새로운 디자인으로 인정받기 어렵다는 판결. 즉, 단순한 변형에 불과하여 창작성이 부족하다고 판단.
특허판례
이미 존재하는 펌프 디스크 디자인과 거의 동일한 디자인은 새로운 의장으로 보호받을 수 없다.
특허판례
기존 유모차 디자인과 비교했을 때, 새롭게 디자인된 유모차가 접히는 방식, 다리 모양 등에서 차이가 있어 다른 미적 가치를 지닌다고 판단, 의장등록이 가능하다고 본 판례.
특허판례
프레임용 골조와 벨트컨베이어용 구조재는 용도와 기능이 유사하므로, 비슷한 디자인의 의장은 유사한 의장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