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표권 분쟁, 생각보다 우리 주변에서 많이 일어나는 일입니다. 오늘은 비슷한 상표 때문에 등록이 거절된 사례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바로 '니플루겔' 상표와 관련된 이야기입니다.
새로운 의약품을 개발한 A 회사는 'NIFLUGEL(니플루겔)'이라는 상표를 등록하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특허청은 이미 등록된 'NIFULO(니플로)'라는 상표와 너무 비슷해서 소비자들이 헷갈릴 수 있다는 이유로 거절했습니다. A회사는 이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지만, 결국 패소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법원은 'NIFLUGEL'에서 'GEL' 부분은 이 의약품이 겔 형태라는 것을 나타낼 뿐, 브랜드 자체를 구분하는 역할을 하지 못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GEL'을 빼고 'NIFLU' 부분만 보면 'NIFULO'와 발음이 매우 비슷하다는 것이죠.
A 회사는 실제 발음은 '니프루겔'이기 때문에 '니플로'와는 다르다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중요한 것은 '식별력'입니다. 'GEL' 부분은 상품의 형태를 설명하는 단어일 뿐, 브랜드를 구분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표의 핵심 요소에서 제외된 것입니다.
결국 'NIFLU'와 'NIFULO'는 소비자들에게 혼동을 줄 수 있을 만큼 유사하다는 판결이 나왔고, 'NIFLUGEL' 상표 등록은 거절되었습니다.
이 사례는 상표 등록 시 유사 상표 여부를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특히 상품의 특징을 단순히 설명하는 단어는 상표의 핵심 요소로 인정받기 어렵다는 점을 기억해야겠습니다.
관련 법 조항: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7호 (상표등록 거절 이유 중 하나로, 선출원 상표와 유사한 상표는 등록받을 수 없음)
참고: 이 판례에서는 참조 판례가 없었습니다.
특허판례
비슷하게 들리는 의약품 상표는 일반인도 헷갈릴 수 있으므로 상표 등록을 거절해야 한다.
특허판례
'DEPRENYL'과 '디프레닐'은 발음이 거의 같아서, 일반인뿐만 아니라 전문가도 혼동할 수 있기 때문에 유사한 상표로 판단되었습니다.
특허판례
"ALICE"라는 상표가 기존에 등록된 "아리스" 상표와 유사하여 등록 거절된 사례. 전체 상표의 외관은 달라도, 일반 소비자가 쉽게 "앨리스"를 "아리스"로 약칭하여 부를 가능성이 높아 상품 출처에 대한 혼동을 줄 수 있다는 판단.
특허판례
'National'이라는 단어가 포함된 상표를 등록하려 했으나, 이미 유사한 상표가 등록되어 있어 거절당함. 비슷한 상표가 다른 상품에 등록되어 있다고 해서 무조건 등록되는 것은 아님.
특허판례
"ALPHA 패션"과 "ALPHA" 상표는 유사하며, 상표 일부가 흔하더라도 전체 상표 비교에서 제외되지 않습니다.
특허판례
발음이 비슷한 상표는 외관이나 의미가 달라도 유사상표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