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은 가족 간에 복잡한 감정과 법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오늘 소개할 이야기는 돌아가신 아버지의 유언장을 둘러싼 기업과 상속인들 간의 분쟁에 관한 것입니다. 유언장이 진짜 아버지의 뜻인지, 아니면 다른 의도가 숨겨져 있는지 법정에서 진실을 가려야 했습니다.
한 기업(원고)은 돌아가신 아버지(망인)로부터 토지를 증여받기로 했다는 유언증서를 근거로 소유권 이전을 주장했습니다. 이 유언증서에는 망인의 인감이 찍혀 있었습니다. 하지만 법원은 이 유언증서가 진짜인지에 대해 의심을 품었습니다.
법원은 문서의 진정성립을 판단할 때 매우 신중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민사소송법 제202조). 진짜 문서라면 그 내용을 뒤집을 만한 확실한 반대 증거가 없으면 문서 내용대로 인정해야 하지만, 위조된 문서라면 당연히 그 내용을 인정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 사건에서 법원은 유언장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증거와 정황을 꼼꼼히 살펴보았습니다.
법원은 망인의 아들들의 진술이 일치하지 않는 점, 망인이 변호사의 도움 없이 유언장을 작성했을 가능성이 낮은 점, 유언장에 적힌 토지가 회사에 도움이 되지 않는 점 등 여러 가지 의심스러운 정황을 발견했습니다. 결국 법원은 이 유언증서가 망인의 아들들이 상속세를 줄이기 위해 망인 사후에 만든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즉, 유언장은 위조된 것이었습니다. (대법원 2002. 9. 6. 선고 2002다34666 판결, 대법원 2003. 4. 8. 선고 2001다29254 판결 참조)
이처럼 법원은 단순히 인장이 찍혀 있다는 사실만으로 문서의 진정성립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여러 증거와 정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중하게 판단합니다. 상속과 관련된 분쟁은 가족 간의 관계를 악화시키고 오랜 시간 동안 법적 다툼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상속 계획을 미리 세우고 관련 법률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담사례
아버지의 자필 유언장에 차남이 이의를 제기하여 유언집행이 막혔으나, 유언집행자는 차남의 동의 없이 유언효력확인소송을 통해 승소 판결문으로 등기 신청을 진행할 수 있다.
민사판례
돌아가신 분이 작성한 문서가 진짜인지 확인할 때, 그 상속인에게 꼭 물어봐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속인은 문서 작성 과정을 모를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증거로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민사판례
자필 유언증서의 진정성(유언자가 직접 쓰고 도장을 찍었는지 여부)에 대해 상속인들이 이의를 제기할 경우, 유언집행자가 상속인들에게 '유언 내용대로 등기 이전에 동의한다'는 진술을 요구하는 소송은 부적법하며, 대신 유언의 효력을 확인하는 소송을 제기해야 합니다.
민사판례
문서에 찍힌 도장이 진짜 도장으로 찍힌 것이 맞다면, 그 문서는 진짜라고 추정되며, 이 추정을 뒤집으려면 단순한 가능성이 아니라 확실한 증거가 필요합니다.
상담사례
공증받은 유언장이라도 유언자가 직접 유언 내용을 말하지 않고 미리 작성된 문서를 사용한 경우, 유언자의 의사 확인, 낭독 및 이해, 의사능력, 진정한 의사 등의 조건을 충족해야 효력이 인정될 수 있다.
상담사례
배우자의 외도로 태어난 아이에 대해 유언으로 친생부인 의사를 밝히고 유언집행자가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