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 6월 26일 대법원에서 선고된 동의대학교 사건 판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 사건은 1991년 5월 부산 동의대학교에서 발생한 학생들의 농성 시위 도중 경찰관들이 사망한 사건입니다.
1. 사건의 개요
동의대학교 학생들은 당시 구속된 학생들의 석방을 요구하며 농성 시위를 벌였습니다. 경찰은 농성 중인 학생들로부터 감금된 전경들을 구출하기 위해 도서관에 진입을 시도했고, 이 과정에서 학생들이 던진 화염병으로 인해 경찰관 7명이 사망하고 다수가 부상을 입었습니다. 이 사건은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2. 판결의 쟁점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3. 판결의 요지
대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습니다.
4. 참조 판례
이 판결은 시위 과정에서 발생한 불의의 사고와 관련하여 법적 책임을 묻는 중요한 판례로 남아있습니다. 특히 공무집행 방해와 관련된 범죄에서 예견가능성 및 인과관계에 대한 판단 기준을 제시한 중요한 판례로 평가됩니다.
형사판례
1989년 동의대학교에서 발생한 시위 도중 전경 감금 및 방화 사건에 대한 대법원의 최종 판결. 시위의 불법성, 경찰의 도서관 진입 적법성, 방화로 인한 사망의 예견 가능성 등이 주요 쟁점.
형사판례
여럿이 함께 공무집행을 방해하는 시위 중 일부가 방화하여 사람이 죽거나 다친 경우, 방화에 직접 가담하지 않은 사람도 사망·상해 결과를 예견할 수 있었다면 특수공무방해치사상죄로 처벌받지만, 방화 자체에는 관여하지 않았다면 방화치사상죄로는 처벌받지 않는다.
형사판례
1996년 연세대학교 점거농성 사건에서 특수공무집행방해치사, 이적표현물 제작·반포·소지 등의 혐의로 기소된 피고인들의 상고를 기각함. 법원은 피고인들의 진술의 임의성, 공동정범 성립 요건, 결과적 가중범에 대한 법리 등을 판단하여 유죄를 확정함.
형사판례
용산 재개발 지역 철거 반대 농성 중 발생한 화재로 사상자가 발생한 사건에서, 농성자들이 던진 화염병이 화재 원인이며, 경찰의 진압 작전은 적법했다는 대법원 판결.
민사판례
대학이 학칙에 따른 절차를 거쳐 학생을 징계했더라도, 그 징계 수위가 적절하지 않다는 이유만으로는 대학 측에 불법행위 책임을 물을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민사판례
경찰의 시위 진압 중 시위대가 던진 화염병으로 건물에 불이 나 주민이 손해를 입었더라도, 경찰의 시위 진압 방법이 현저히 불합리하지 않다면 국가는 배상 책임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