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4.12.09

특허판례

떡 안에 크림, 특허는 어디까지? 특허청구범위 해석의 중요성

오늘은 떡 속에 크림을 넣는 기술에 대한 특허 분쟁 사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떡에 크림을 넣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한 영양제과(주)와 박충호 씨 사이의 특허권 침해 소송에서 대법원은 특허청구범위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사건의 핵심은 '크림'의 의미

영양제과는 떡의 소로 크림을 사용하는 특허를 등록했습니다. 박충호 씨는 이 특허를 침해했다는 이유로 소송을 당했고, 특허의 유효성에 대한 다툼이 시작되었습니다. 쟁점은 특허에서 말하는 "크림"이 어떤 크림을 의미하는지였습니다.

특허청구범위는 명확해야 한다

대법원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가 명확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특허청구범위에 적힌 내용이 누가 봐도 이해하기 쉽고, 오타나 잘못된 기재가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에는 특허청구범위에 적힌 내용 그대로 해석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대법원 2001. 9. 7. 선고 99후734 판결 참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의 일치성

하지만 특허청구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일치해야 합니다. 특허청구범위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밝힌 내용보다 지나치게 넓으면 안 된다는 것이죠. (구 특허법 제42조 제4항, 대법원 1998. 5. 22. 선고 96후1088 판결 참조)

이 사건의 경우

영양제과의 특허는 떡소로 "크림"을 사용한다고만 기재했고, 어떤 크림인지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았습니다. 대법원은 이 경우 "크림"이란 일반적으로 우유에서 분리한 지방분 또는 여기에 다른 재료를 배합한 식품을 의미한다고 해석했습니다.

그러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보면, 영양제과는 수분 함량이 팥소보다 낮아 떡으로 수분이 이동하지 않는 크림만을 사용하는 기술을 설명하고 있었습니다. 즉,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크림"은 모든 종류의 크림을 포함하지만, 상세한 설명에서는 특정 종류의 크림만을 다루고 있었던 것입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특허청구범위의 "크림"을 상세한 설명에 따라 보존성이 우수한 크림으로 한정 해석한 원심 판결을 파기했습니다. 특허청구범위가 상세한 설명보다 지나치게 넓게 작성되었기 때문에, 구 특허법 제42조 제4항에 위반된다는 것이죠. 다만, 땅콩크림으로 한정한 특허청구범위 제3, 6항은 상세한 설명과 일치하므로 유효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결론

이 판결은 특허청구범위를 작성할 때 명확성과 상세한 설명과의 일치성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줍니다. 특허를 받으려는 발명가들은 특허청구범위를 작성할 때, 이 점을 유의해야 할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특허청구범위, 어디까지 보호받을 수 있을까? - "포함하는" 조성물 특허 해석

특허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적힌 내용을 기준으로 정해지는데, '포함하는'이라는 표현이 있다면 명시된 구성 요소 외에 다른 요소가 추가되어도 특허 보호범위에 포함된다는 판결입니다.

#특허청구범위#포함하는#진보성#보호범위

특허판례

특허 침해 판단, 청구범위 해석이 핵심!

특허의 신규성·진보성을 판단할 때, 특허청구범위에 적힌 내용을 중심으로 판단해야 하며, 설명이나 도면은 참조할 수 있지만, 청구범위의 내용을 확장하거나 축소해서는 안 된다는 내용입니다.

#특허#특허청구범위#신규성#진보성

민사판례

떡 제조방법 특허권 침해 분쟁, 대법원 판결 확정!

특허받은 떡 제조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떡을 만든 경우, 재료나 배합비율에 일부 차이가 있더라도 특허권 침해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특허의 핵심 아이디어와 효과가 동일하고, 차이점이 업계 전문가가 쉽게 생각해낼 수 있는 정도라면 특허권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고 판단됩니다.

#떡 제조방법#특허권 침해#유사성#핵심 아이디어

특허판례

특허권 범위, 어디까지 보호될까? - 청구범위 해석의 중요성

특허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적힌 내용 그대로 해석해야 하며, 다른 설명이나 도면으로 범위를 좁혀 해석하면 안 된다는 판결.

#특허#청구범위#해석#명세서

특허판례

특허 침해? 청구범위가 핵심! 확장해석은 NO!

특허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적힌 내용이 기준이며, 다른 설명이나 도면으로 그 범위를 넓게 해석할 수 없다.

#특허권#보호범위#특허청구범위#명세서

특허판례

특허 침해 분쟁, 핵심은 '청구범위 해석'과 '확인대상 발명'

특허 침해 여부를 판단할 때, 특허 청구범위는 명세서와 도면을 참고하여 해석해야 하며, 권리범위확인심판에서는 심판청구인이 지정한 확인대상 발명을 기준으로 특허 침해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특허침해소송#특허청구범위#확인대상발명#권리범위확인심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