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5.02.25

민사판례

떡 제조방법 특허권 침해 분쟁, 대법원 판결 확정!

최근 떡 제조방법에 대한 특허권 침해 분쟁에서 대법원이 원심 판결을 확정하며 특허권자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이번 판결은 특허 침해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사건의 핵심은 특허받은 떡 제조방법과 피고가 사용한 제조방법이 얼마나 유사한지, 그리고 그 유사성이 특허권 침해를 구성하는지 여부였습니다. 특허권자는 자신의 특허가 떡의 딱딱해짐과 상함을 방지하는 독창적인 3층 구조(초콜릿 외피, 떡(생지), 떡소) 제조방법에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반면 피고는 자신의 제조방법은 특허받은 방법과 다르다고 맞섰습니다.

대법원은 특허 침해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두 발명의 구성요소, 과제 해결 원리, 작용효과, 치환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즉, 비록 일부 구성요소가 다르더라도 전체적인 작용 원리가 같고, 그 차이가 업계의 평균적인 기술자가 쉽게 생각해낼 수 있는 정도라면 특허 침해로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관련 법 조항: 특허법 제97조, 제135조)

이 사건에서 대법원은 피고의 제조방법이 특허받은 방법과 떡소의 구성 성분, 떡(생지)에 사용되는 재료 등에서 일부 차이가 있음을 인정했습니다. 그러나 두 발명 모두 3층 구조를 통해 떡의 보존 기간을 늘리는 동일한 목적과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그 차이는 업계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쉽게 변경할 수 있는 정도라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피고의 제조방법은 특허권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고 결론지었습니다.

이번 판결은 대법원의 기존 판례 (대법원 2001. 9. 7. 선고 2001후393 판결, 2002. 8. 23. 선고 2000후3517 판결 등) 와 맥을 같이합니다. 특허 침해를 판단할 때 단순히 구성요소의 동일성만 볼 것이 아니라, 발명의 핵심적인 아이디어와 그 실질적인 효과를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준 중요한 판례로 남을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꼬막 채취기, 특허권 침해 논란 종결!

두 가지 꼬막 채취기의 구조와 작동 방식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특허 침해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제조 금지 가처분 신청을 기각한 판결입니다.

#꼬막 채취기#특허 침해 소송#피고 승소#구조 차이

특허판례

남의 기술 베껴 특허? 안돼요! 무효입니다!

다른 사람의 영업비밀을 활용하여 단순히 일부 변경만 한 발명은 진정한 창작으로 볼 수 없어 특허로 인정되지 않으며, 해당 특허는 무효입니다.

#영업비밀#특허무효#진정한 창작#단순변형

특허판례

물건 발명 특허권, 제조방법까지 따져야 할까?

물건 발명 특허에서는 제조 방법이 아니라 최종 제품의 구성이 중요하다. 따라서 특허 침해 여부를 판단할 때, 제품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보다는 최종 제품이 특허받은 물건과 같은 구성을 갖는지가 핵심이다.

#물건 발명#특허 침해#제조 방법#최종 제품 구성

특허판례

떡 안에 크림, 특허는 어디까지? 특허청구범위 해석의 중요성

특허의 유효성을 판단할 때,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보다 지나치게 넓으면 안 된다는 판례입니다. 즉, 특허로 보호받으려는 범위가 실제 발명 내용보다 과장되어서는 안 됩니다.

#특허청구범위#상세한 설명#불일치#무효

특허판례

제조방법으로 특정되는 물건 발명, 그 특허는 어떻게 판단할까요?

물건 발명의 특허를 판단할 때, 제조방법이 함께 기재되어 있더라도 최종적으로 만들어진 물건 자체의 신규성과 진보성을 중심으로 판단해야 한다. 제조방법은 물건의 특징을 설명하는 보조 수단일 뿐이다.

#물건 발명#특허 요건#제조방법#신규성

특허판례

특허 침해, 물건인가 방법인가? - 생산 방법 특허와 제품의 관계

특허받은 생산방법으로 만든 물건도 특허권의 보호를 받는다. 따라서, 특정 생산방법으로 만든 물건이 특허받은 생산방법의 범위에 속하는지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특허#생산방법#물건#권리범위확인심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