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9.06.28

형사판례

마약 자체는 불법수익일까? - 마약범죄와 추징보전

마약 범죄에서 압수된 마약 자체를 돈으로 환산해서 추징할 수 있을까요? 즉, 마약 자체가 '불법수익'에 해당할까요? 대법원은 최근 이에 대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이 판결을 통해 마약범죄와 관련된 중요한 법적 쟁점을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쟁점:

이 사건의 핵심은 마약류 자체를 '마약류 불법거래 방지에 관한 특례법'(이하 '마약거래방지법')에서 정한 '불법수익'으로 볼 수 있는지, 그리고 마약 자체의 가액을 추징보전명령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는지였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마약류 자체는 마약거래방지법상 '불법수익'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법률의 목적과 규정체계: 마약류관리법은 마약류 자체의 관리를 통해 오남용을 방지하는 데 목적이 있는 반면, 마약거래방지법은 마약류 관련 불법행위를 방지하고 불법수익이 범죄에 재투자되는 것을 막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두 법률은 목적과 규제 대상이 다릅니다.
  • 불법수익의 정의: 마약거래방지법은 '마약류'와 '불법수익'을 별도로 정의하고 있으며, 불법수익의 추적 및 환수에 관한 구체적인 규정들을 두고 있습니다. 이는 마약류 자체와 불법수익을 구분해서 취급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몰수 및 추징보전의 범위: 마약거래방지법은 몰수보전명령은 다른 법률에 따른 몰수 대상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규정했지만, 추징보전명령은 마약거래방지법에 따른 추징의 경우로 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추징보전의 대상을 더욱 엄격하게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관련 법조항:

  • 마약류 불법거래 방지에 관한 특례법 제1조, 제2조, 제3조, 제4조, 제5조, 제6조, 제7조, 제8조, 제9조, 제13조, 제16조, 제33조 제1항, 제52조 제1항
  •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제1조, 제67조

결론:

이 판결은 마약류 자체를 불법수익으로 보아 추징보전할 수 없다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마약 범죄에 대한 엄벌 의지는 중요하지만, 법률의 해석과 적용은 엄격하고 명확해야 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한 판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마약 범죄, 돈 벌었든 안 벌었든 추징!

향정신성의약품 관련 범죄에서 추징은 범죄수익을 환수하는 것이 아니라 범죄에 대한 징벌적인 의미를 가지므로, 실제 이득을 얻지 못했더라도 추징이 가능하고, 공범이 있는 경우 각각에게 전체 금액을 추징할 수 있습니다.

#향정신성의약품#추징#징벌적#공범

형사판례

마약 방조범, 정범과 같은 액수 추징은 안된다!

마약 판매를 도운 사람(방조범)에게는 자신이 직접 번 돈만 추징할 수 있고, 판매책(정범)이 번 돈까지 추징할 수는 없다는 판결입니다.

#마약#방조범#추징#정범

형사판례

마약 사건에서 범죄사실과 무관한 추징은 안돼요!

법원은 공소장에 적힌 범죄사실에 포함되지 않은 사실을 근거로 마약류 몰수나 추징을 할 수 없습니다.

#몰수#추징#범죄사실#공소장

형사판례

마약 범죄, 돈 안 벌었어도 추징! 얼마나?

마약류 관리법 위반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경우, 범죄로 얻은 이익이 없더라도 징벌적 차원에서 추징을 명할 수 있으며, 추징 금액은 재판 선고 시점의 마약 가격을 기준으로 합니다.

#마약류관리법위반#추징#징벌적#마약가격

형사판례

마약 판매 대금, 무조건 추징! 징벌적 성격이라고?

마약 판매로 얻은 돈은 범죄자가 실제로 이득을 봤는지와 상관없이 전액 추징해야 한다. 이는 범죄에 대한 징벌적인 조치이기 때문이다.

#마약#판매대금#전액추징#몰수

형사판례

불법 환전, 뭘 압수할 수 있을까? - 외국환거래법 위반 시 몰수·추징 대상

외국환거래법 위반으로 불법 환전을 한 경우, 환전된 돈 자체가 아니라 환전 수수료만 몰수·추징 대상이 된다.

#불법 환전#수수료#몰수#추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