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3.03.23

형사판례

마약 범죄, 돈 벌었든 안 벌었든 추징!

마약 범죄는 사회적으로 큰 해악을 끼치는 중대한 범죄입니다. 그래서 처벌도 무겁죠. 오늘은 마약 관련 범죄에서 '추징'에 대한 중요한 내용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혹시 마약 범죄로 돈을 못 벌었다면 추징을 안 당할 거라고 생각하시나요?

추징은 돈을 번 것과 상관없이!

향정신성의약품관리법 위반으로 유죄 판결을 받으면 범죄에 사용된 마약류의 가액을 추징당하게 됩니다. 중요한 건, 이 추징은 범죄로 실제로 이득을 봤는지와는 전혀 상관이 없다는 것입니다. 즉, 마약을 팔아서 돈을 벌었든, 돈을 한 푼도 못 벌었든, 심지어 손해를 봤든 상관없이 마약류의 가액만큼 추징당합니다. 왜냐하면 추징의 목적은 범죄 수익을 환수하는 것이 아니라 범죄에 대한 징벌이기 때문입니다.

공범이면 각자 전액 추징!

만약 마약 범죄를 여러 명이 함께 저질렀다면 어떻게 될까요? 이 경우, 공범 각자에게 마약류 가액 전액을 추징합니다. 예를 들어, 1억 원 상당의 마약을 3명이 함께 판매했다면, 3명 모두에게 각각 1억 원씩 추징금이 부과됩니다. 즉, 총 3억 원을 추징하는 것입니다. 이것 역시 추징의 징벌적 성격 때문입니다.

관련 법조항과 판례

이러한 추징의 원칙은 향정신성의약품관리법 제47조에 근거하고 있으며, 대법원에서도 여러 차례 판결을 통해 확인되었습니다. 핵심 판례는 아래와 같습니다.

  • 대법원 1984.3.13. 선고 83도3228 판결
  • 대법원 1990.12.26. 선고 90도2381 판결

마약 범죄는 절대 저지르지 말아야 할 중범죄입니다. 무거운 처벌은 물론이고, 돈을 벌지 못했더라도 추징을 피할 수 없다는 사실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마약 범죄, 돈 안 벌었어도 추징! 얼마나?

마약류 관리법 위반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경우, 범죄로 얻은 이익이 없더라도 징벌적 차원에서 추징을 명할 수 있으며, 추징 금액은 재판 선고 시점의 마약 가격을 기준으로 합니다.

#마약류관리법위반#추징#징벌적#마약가격

형사판례

향정신성의약품 범죄, 이득 없어도 추징해야 할까?

향정신성의약품 관련 범죄를 저지른 경우, 범죄자가 실제로 이득을 보지 않았더라도 약물의 가액을 추징해야 한다. 추징은 범죄에 대한 징벌적인 의미를 가진다.

#향정신성의약품#추징#이득 무관#징벌적 의미

형사판례

마약 사건에서 범죄사실과 무관한 추징은 안돼요!

법원은 공소장에 적힌 범죄사실에 포함되지 않은 사실을 근거로 마약류 몰수나 추징을 할 수 없습니다.

#몰수#추징#범죄사실#공소장

형사판례

마약 판매 대금, 무조건 추징! 징벌적 성격이라고?

마약 판매로 얻은 돈은 범죄자가 실제로 이득을 봤는지와 상관없이 전액 추징해야 한다. 이는 범죄에 대한 징벌적인 조치이기 때문이다.

#마약#판매대금#전액추징#몰수

형사판례

마약 자체는 불법수익일까? - 마약범죄와 추징보전

마약 범죄에서 취급된 마약 자체는 마약류 불법거래 방지에 관한 특례법(이하 마약거래방지법)에서 말하는 '불법수익'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마약 자체의 가액을 추징보전할 수 없다.

#마약#불법수익#추징보전#마약거래방지법

형사판례

마약 방조범, 정범과 같은 액수 추징은 안된다!

마약 판매를 도운 사람(방조범)에게는 자신이 직접 번 돈만 추징할 수 있고, 판매책(정범)이 번 돈까지 추징할 수는 없다는 판결입니다.

#마약#방조범#추징#정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