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3.01.12

형사판례

마약 판매만 했는데 재활 교육도 받아야 하나요? - 마약류사범에 대한 이수명령

마약 관련 범죄는 엄중하게 처벌받는다는 사실, 다들 알고 계시죠? 그런데 마약을 직접 투약하지 않고 판매만 했는데도 재활 교육을 받아야 할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대법원 판결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이 사건의 피고인은 마약을 판매한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1심과 2심 법원은 피고인에게 유죄를 선고하면서 재활 교육 프로그램 이수명령도 함께 부과했습니다. 그런데 대법원은 이 이수명령 부분을 취소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핵심은 '마약류사범'의 정의에 있습니다.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마약류관리법') 제40조의2 제2항은 '마약류사범'에게 선고유예 외의 유죄판결을 선고하는 경우 교육 수강명령이나 재활교육 프로그램 이수명령을 병과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같은 법 제40조의2 제1항에 따르면 '마약류사범'이란 마약류를 직접 투약, 흡연 또는 섭취한 사람을 의미합니다.

이 사건 피고인은 마약을 판매했을 뿐, 직접 투약, 흡연 또는 섭취하지는 않았습니다. 따라서 마약류관리법상 '마약류사범'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이수명령을 부과할 수 없다는 것이 대법원의 판단입니다.

이번 판결은 마약류관리법상 이수명령의 대상이 되는 '마약류사범'의 범위를 명확히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마약류 관련 범죄는 그 종류와 행위에 따라 처벌과 부수처분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관련 법률과 판례를 잘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참고 법률:

  •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제40조의2 제1항, 제2항

참고 판례:

  • 대법원 2022. 11. 17. 선고 2022도9737 판결

덧붙여, 이 사건에서는 피고인이 상고이유서에 구체적인 내용을 제대로 기재하지 않아 적법한 상고이유가 없다고 판단되었습니다. 상고이유서에는 원심판결의 어떤 부분이 왜 잘못되었는지 구체적으로 밝혀야 한다는 점도 기억해 두시면 좋겠습니다. 관련 법조항은 형사소송법 제383조입니다. 또한, 이 사건처럼 10년 미만의 징역형이 선고된 경우에는 양형부당을 이유로 상고할 수 없다는 점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마약 매매·소지만 했다면 교육 이수명령은 안돼요!

마약을 사고팔거나 소지했더라도, 실제로 투약하지 않았다면 법원이 재활 교육 이수를 명령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

#마약#교육이수명령#투약#대법원

형사판례

마약류 투약, 언제부터 재활교육 받아야 할까요?

2020년 12월 4일부터 시행된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안에 따라, 법 시행 이후 마약류를 투약한 사람에게는 재범 방지를 위한 교육 이수명령을 법원이 선고할 수 있습니다.

#마약류#투약#재범방지#교육이수명령

생활법률

마약 범죄, 처벌만 받으면 끝일까? 치료와 재활, 그리고 보호관찰까지!

마약류 범죄자는 처벌 외에도 중독 회복과 재범 방지를 위해 치료감호, 보호관찰, 재활교육, 치료명령 등의 제도적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마약#범죄#처벌#치료감호

형사판례

마약, 그냥 가지고만 있어도 불법일까요?

마약을 계속적, 영업적으로 취급하는 전문적인 업자가 아니더라도, 단순히 마약을 소지하고 있는 것만으로도 마약법 위반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

#마약#단순소지#처벌#마약법위반

형사판례

가짜 마약인 줄 알고 팔았는데… 처벌받을까?

마약이 아닌 물질을 마약으로 착각하고 거래하거나 소지한 경우, 관련 법이 개정되었다 하더라도 여전히 처벌받을 수 있다.

#마약류 오인#거래#소지#법 개정

형사판례

마약류 매매, 언제 범죄가 시작될까? - 실행의 착수시점

마약류 구매자가 판매자에게 대금을 송금했지만 마약을 받지 못한 경우, 판매자가 마약을 소지/입수했거나 가능한 상태였다면 매수 행위의 실행의 착수로 볼 수 있다.

#마약류#매매 미수#대금 송금#실행의 착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