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생활법률

먹거리 수입? 꼼꼼 검사 필수! 알아두면 쓸모 있는 수입신고 & 검사 대상

안녕하세요! 오늘은 해외에서 먹거리를 수입할 때 꼭 알아야 할 수입신고 및 검사 대상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해외 직구나 사업 등으로 먹거리 수입을 고려하고 있다면, 검역 절차를 제대로 이해하고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칫하면 법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꼭 확인해보세요!

어떤 먹거리가 수입신고 및 검사 대상일까요?

간단히 말해, 판매하거나 영업에 사용할 목적으로 수입하는 모든 먹거리는 신고 및 검사 대상입니다. 개인이 소량으로 자가 소비용으로 들여오는 경우는 제외될 수 있지만, 사업 목적이라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절차입니다. (「식품위생법」 제2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품목들이 포함됩니다.

  • 식품: 우리가 먹는 모든 음식물이 해당됩니다. (단, 의약품으로 분류되는 것은 제외) 예를 들어, 과자, 라면, 과일, 채소, 육류, 수산물 등이 모두 포함됩니다.
  • 식품첨가물: 식품의 맛, 색깔, 보존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입니다. 설탕, 색소, 방부제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식품에 직접 첨가되는 것뿐 아니라, 용기나 포장을 살균하는 데 사용되어 간접적으로 식품에 옮겨갈 수 있는 물질도 포함됩니다.
  • 기구: 식품이나 식품첨가물에 직접 닿는 모든 기계, 기구, 도구 등을 말합니다. 숟가락, 젓가락, 냄비, 프라이팬, 식품 제조 기계 등이 포함됩니다. (단, 농업이나 수산업에서 식품을 채취하는 데 사용되는 기계, 기구는 제외)
  • 용기·포장: 식품이나 식품첨가물을 담는 모든 용기와 포장재입니다. 플라스틱 용기, 유리병, 캔, 비닐 포장지 등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단순히 배송을 위한 상자는 해당하지 않고,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최종 포장재를 의미합니다.

왜 수입신고 및 검사가 필요할까요?

수입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국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입니다. 수입신고 및 검사를 통해 유해 성분이나 위생 문제가 있는 제품의 유통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습니다.

수입신고 및 검사는 어떻게 진행될까요?

자세한 절차는 식품의약품안전처 또는 관련 기관의 웹사이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일반적으로 서류 제출, 현장 검사, 시료 채취 및 분석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수입신고 및 검사를 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관련 법규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입하려는 품목이 신고 및 검사 대상인지 정확히 확인하고 필요한 절차를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이 해외 먹거리 수입을 준비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안전한 먹거리 수입을 위해 꼼꼼한 준비는 필수라는 점, 잊지 마세요!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생활법률

우리 먹거리 안전 지킴이, 수입식품 검사 절차 A to Z!

국내 유통되는 수입식품의 안전을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서류, 현장, 정밀, 무작위표본 검사를 통해 부적합 제품의 유통을 차단하고 있으며, 우수업체 제품 등 특정 조건에선 검사를 생략할 수 있다.

#수입식품 검사#식품의약품안전처#서류검사#현장검사

생활법률

해외직구? 잠깐! 이것도 수입신고 해야 하나요? (축산물 편)

해외직구로 식육, 포장육, 원유, 식용란, 식육가공품, 유가공품, 알가공품 등 축산물을 구입할 경우, 개인 소비용이라도 수입신고 및 검사가 필요하다.

#해외직구#축산물#수입신고#검사

생활법률

해외에서 식품 사올 때 꼭 알아야 할 수입신고! 😱

해외에서 식품 수입 시 판매 목적이면 수입신고가 필수이나, 자가소비용 등 예외 경우가 있으며, 신고 시 지정 서류 제출 및 절차를 따라야 하고, 대행도 가능하다.

#해외 식품 수입신고#자가소비용 면제#판매용 필수#수입신고 절차

생활법률

해외에서 축산물 들여올 때, 꼭 알아야 할 수입검사!

해외 축산물 수입 시, 국민 안전을 위해 서류·현장·정밀검사 등 수입검사를 받아야 하며, 검사 통과 후 수입신고확인증을 발급받아야 판매 가능하고, 불합격 시 반송 또는 폐기해야 한다.

#축산물 수입검사#수입신고확인증#조건부 수입신고확인증#부적합통보서

생활법률

해외직구? 잠깐! 수입식품, 제대로 알고 먹자! 🧐

해외에서 식품 수입 시, 식품 종류(식품, 건강기능식품, 축산물 등)에 따라 수입 가능 여부, 신고 의무 등 관련 법규를 확인해야 하며, 위해식품이나 수입금지 품목은 반입할 수 없다.

#수입식품#해외직구#건강기능식품#수입신고

생활법률

해외에서 축산물 들여오려면? 수입신고 A to Z!

판매·사업용 해외 축산물 수입 시, 도착 5일 전 관할 식약처에 수입신고 필수 (일부 예외 존재)하며, 허위신고 등 위반 시 처벌받음.

#축산물 수입#수입신고#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식품의약품안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