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8.12.15

민사판례

먼저 접수된 등기신청이 우선! 등기 이의신청과 관련된 대법원 판결 해설

안녕하세요. 등기 관련해서 복잡한 판결이 나와서 일반인 분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번 판결은 주주총회에서 이사 선임을 둘러싸고 분쟁이 발생한 상황에서, 어떤 등기신청이 유효한지, 또 등기관의 역할은 무엇인지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핵심은 먼저 접수된 등기신청이 우선이라는 점입니다.

사건의 개요

한 회사에서 두 그룹이 서로 다른 이사들을 선임하는 주주총회를 각각 열고, 등기소에 등기신청을 했습니다. 두 등기신청은 같은 날 접수되었지만, 시간 차이가 있었고 내용은 서로 달라 양립할 수 없었습니다. 등기관은 먼저 접수된 신청에 문제가 없다고 보고 등기를 완료했고, 나중에 접수된 신청은 각하했습니다. 나중에 접수한 측에서 이의를 제기했고, 1심 법원은 이를 받아들여 먼저 된 등기를 말소하고 나중 신청에 따른 등기를 하도록 했습니다. 이에 먼저 신청했던 측이 대법원까지 재항고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등기관이 접수 순서대로 처리해야 한다는 원칙을 강조했습니다. (구 비송사건절차법 제158조, 현행 상업등기법 제26조 참조) 먼저 접수된 등기신청에 법적인 문제가 없다면, 나중에 접수된 신청은 "이미 등기된 사건"이므로 각하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구 비송사건절차법 제159조 제3호, 현행 상업등기법 제27조 제3호 참조)

또한, 등기관은 신청서류와 등기부만 보고 형식적인 요건만 심사할 수 있지, 실질적인 권리관계까지 판단할 권한은 없다고 명확히 했습니다. (대법원 1995. 1. 20.자 94마535 결정 참조) 즉, 등기관이 나중 접수된 신청을 받아들여 먼저 된 등기를 말소한 것은 잘못이라는 것입니다.

비록 등기관의 판단에 오류가 있었더라도, 일단 등기가 완료된 이상, 법에 정해진 특별한 사유(구 비송사건절차법 제234조 제1항 각 호, 현행 상업등기법 제116조 제1항 참조)가 없는 한 이의신청으로 등기를 말소할 수는 없다는 점도 확인했습니다. (대법원 1984. 4. 6.자 84마99 결정, 대법원 1989. 11. 30.자 89마645 결정 등 참조) 단, 등기 자체에 명백한 무효 사유가 있는 경우는 예외입니다. (구 비송사건절차법 제234조 제1항 제2호, 현행 상업등기법 제116조 제1항 제2호, 대법원 2003. 9. 29.자 2002마4147 결정 참조)

결과적으로 대법원은 원심의 판단에는 문제가 있지만, 먼저 접수된 등기신청에 따른 등기가 유효하다는 결론은 옳다고 보아 재항고를 기각했습니다.

핵심 정리

  • 등기는 접수 순서대로 처리된다.
  • 등기관은 형식적 심사권만 가지고, 실질적 권리관계는 판단하지 않는다.
  • 일단 완료된 등기는 법정 사유 없이는 이의신청으로 말소할 수 없다.

이번 판결은 등기의 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등기관의 형식적 심사권과 접수주의 원칙을 재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등기 관련 분쟁 발생 시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주주총회 절차상 하자 있는 등기, '이의'로 말소할 수 있을까?

주주총회의 절차상 하자가 있어도 등기 자체가 무효인 것은 아니므로, 단순히 '이의'만으로는 등기를 말소할 수 없고 정식 '소송'을 제기해야 한다.

#주주총회#절차상 하자#등기 말소#이의

민사판례

등기관의 결정에 대한 항고, 가능할까요?

등기관이 처음에 등기 신청을 거부했지만, 법원이 이 거부를 취소하고 등기를 하도록 명령하여 실제로 등기가 완료된 경우, 처음 거부 처분을 취소한 법원의 결정에 대해서는 더 이상 불만을 제기(항고)할 수 없다.

#등기관#각하처분#취소#등기완료

상담사례

확정판결 받았는데 등기관이 다시 심사한다고요? 🤯

확정판결 받은 소유권이전등기에 대해 등기관은 부동산실명법 위반 등 실질적 심사 없이 형식적 심사만 하고 등기해야 한다.

#확정판결#등기관#형식적 심사#실질적 심사

민사판례

등기 완료 후, 등기관 결정에 대한 불복 방법은?

등기관이 등기를 거부했는데, 법원이 등기하라고 명령해서 등기가 완료된 경우, 이미 등기가 되었기 때문에 원래 거부 결정 자체는 의미가 없어져서 그 결정을 취소해달라는 항고는 할 수 없다.

#등기완료#각하결정취소#항고불가#실익상실

민사판례

등기 완료 후, 이의신청 결과에 대한 항고는 효력이 있을까?

법원 결정으로 등기가 이미 완료된 경우, 처음에 등기공무원이 등기를 거부했던 결정에 대한 항고는 효력이 없다.

#등기완료#항고각하#등기공무원#법원명령

민사판례

가처분 이후 등기에 대한 쟁점 정리

부동산에 가처분이 걸린 후 제3자가 등기를 했다면, 가처분권리자는 승소 후 제3자 등기를 말소할 수 있습니다. 말소 대상이 부동산 일부 지분이라면, 일부 말소의 의미를 가진 경정등기로 처리해야 합니다. 또한, 등기관이 신청에 따라 등기 절차를 완료했을 경우, 법에 정해진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이의신청을 통해 등기를 말소할 수 없습니다.

#가처분#제3자 등기#말소#경정등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