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안녕하세요! 오늘은 국제적으로 보호받는 멸종위기 동물을 거래할 때 꼭 알아야 할 법규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멸종위기 동물은 우리 모두가 지켜야 할 소중한 존재이기 때문에, 거래 시 특별한 규정이 적용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국제적 멸종위기종, 무엇일까요?
국제적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 싸이테스) 부속서(Ⅰ·Ⅱ·Ⅲ)에 등재된 종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전 세계적으로 멸종 위험이 높아 거래가 엄격하게 제한되는 동물과 식물이죠.
국제적 멸종위기종 거래, 허가받아야 합니다!
국제적 멸종위기종이나 그 가공품(예: 상아, 호피)을 수출·수입·반출·반입하려면 환경부장관의 허가가 필수입니다.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16조제1항 본문 및 시행령 제12조제1항) 허가받지 않고 거래하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 원 이상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68조제1항제5호)
허가받으려면?
허가받으려면 여러 조건을 충족하고 필요한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1. 허가 기준:
2. 제출 서류:
수출·수입 등의 목적에 따라 제출해야 하는 서류가 다릅니다. (시행규칙 제19조제1항 본문) 대표적으로 수출 시에는 적법한 포획·채취 증명서류, 수입국 허가서 사본, 사진, 수송계획서 등이 필요하고, 수입 시에는 물품매도확약서, 사용계획서, 보호시설 관련 서류, 수출국 허가서 사본 등이 필요합니다.
수입/반입 후에는?
목적 외 사용 금지: 수입/반입 목적 외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16조제3항 본문) 다만, 박물관 기증, 종 복원, 재수출 등의 경우 환경부장관의 승인을 받으면 가능합니다.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16조제3항 단서 및 시행규칙 제22조제1항) 목적 외 사용 시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다.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69조제1항제4호)
양도·양수 및 폐사 신고: 양도·양수하거나 폐사한 경우 지방환경관서의 장에게 신고해야 합니다.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16조제6항 본문 및 시행규칙 제23조) 미신고 시 1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73조제3항제5호)
입수 경위 증명 서류 보관: 적법한 입수 경위를 증명하는 서류를 보관해야 합니다.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16조제8항 및 시행규칙 제23조의4) 미보관 시 1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73조제3항제5호의3)
멸종위기종 보호는 우리 모두의 책임입니다. 관련 법규를 잘 숙지하여 멸종위기종 보호에 동참해 주세요!
생활법률
멸종위기 동식물(CITES종) 수입은 종류(부속서 I, II, III)에 따라 지방환경관서(일반) 또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약품)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각 기관의 절차에 따라 서류를 제출하고 심사를 거쳐 허가서를 발급받아야 한다.
생활법률
국제적 멸종위기종(CITES 협약에 따라 거래가 규제되는 생물)을 수출·반출하려면 환경부(일반 멸종위기종) 또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약품)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불법 거래는 엄격히 금지된다.
생활법률
멸종위기 야생생물은 법으로 보호받으며, 허가 없이 포획, 채취, 가공, 유통 등이 금지되고, 위반 시 최대 5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 예외적인 경우(자기방어, 구조 등)와 연구 등의 목적으로 허가받은 경우는 가능하지만, 신고 의무가 있다.
생활법률
국제적 멸종위기종 사육은 법적 절차(사육시설 등록, 변경 신고, 검사, 폐쇄 신고 등)를 반드시 준수해야 하며, 위반 시 징역 또는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
생활법률
멸종위기종 인공증식은 위험종의 경우 허가(시행규칙 별표 1의2), 수입/반입종의 경우 증명서를 발급받아야 하며, 위반 시 징역 또는 벌금, 과태료 처분을 받는다.
생활법률
야생생물(가공품 포함) 수출입은 법적 허가가 필수이며, 무허가 거래 시 1년 이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