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6.10.27

형사판례

무허가 은행 영업, 특정 직업군 대상이라도 불특정 다수일 수 있다!

혹시 은행이 아닌 곳에서 예금이나 투자를 권유받은 적 있으신가요? 금융기관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은행업 허가를 받지 않은 곳이라면 주의해야 합니다! 최근 대법원 판결(대법원 2016. 9. 29. 선고 2016도10416 판결)을 통해 이와 관련된 중요한 내용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이번 판결은 특정 직업군을 대상으로 자금을 모아 대출을 해준 단체가 은행법 위반으로 처벌받은 사례입니다. 겉으로는 특정 회사 직원들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실제 운영 방식은 일반 은행과 다를 바 없었기에 불법 은행업으로 판단되었습니다.

핵심 쟁점은 '불특정 다수인' 에게 자금을 조달했는지 여부였습니다. 은행법 제2조 제1항 제1호에 따르면 '은행업'이란 예금, 유가증권 등을 통해 불특정 다수인으로부터 자금을 조달하여 대출하는 것을 업으로 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은행업을 하려면 은행법 제8조에 따라 금융위원회의 인가를 받아야 하죠.

이번 사건에서 문제가 된 단체는 특정 회사 직원들과 그 가족, 지인들을 대상으로 자금을 모집하고 대출을 해주었습니다. 겉보기에는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한 것 같지만, 실제로는 회원 자격 심사가 허술하고 대상 범위가 넓어 사실상 불특정 다수인을 상대로 영업한 것과 마찬가지였습니다. 대법원은 이러한 운영 방식을 고려하여 불특정 다수인을 대상으로 한 은행업으로 판단했고, 해당 단체는 은행법 위반으로 처벌받았습니다.

이 판례는 금융시장의 안정과 예금자 보호를 위해 은행업 허가 제도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줍니다. 아무리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것처럼 보여도 실질적으로 불특정 다수인으로부터 자금을 조달하여 대출하는 형태라면 은행법 위반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투자나 예금을 할 때는 해당 기관이 정식으로 허가받은 금융기관인지 꼼꼼히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도록 합시다.

관련 법 조항:

  • 은행법 제2조 제1항 제1호 (은행업의 정의)
  • 은행법 제8조 제1항, 제2항 (은행업 인가)
  • 은행법 제66조 제2항 (벌칙)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대부업? 그냥 돈 몇 번 빌려준 것뿐인데… 불법일까요?

돈을 빌려주는 행위를 '업으로' 하는지 여부는 단순히 사무실이나 직원이 있는지 여부가 아니라, 빌려주는 횟수, 기간, 규모, 이자율 등 여러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

#대부업법 위반#업으로#대부행위#포괄일죄

형사판례

전공의 대상 유사수신행위, 불특정 다수 기준은?

특정 직업군(전공의)을 대상으로 투자금을 모집한 경우에도, 모집 대상이 불특정 다수라면 유사수신행위로 처벌될 수 있다는 대법원 판결.

#전공의#공제회#예탁금#유사수신행위

세무판례

은행도 예외는 없다! 업무와 관련 없는 부동산 투자했다면 세금 내야죠!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이라도 업무와 관련 없는 부동산 (비업무용 부동산)을 보유하기 위해 빌린 돈의 이자는 세금 계산 시 비용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금융기관#비업무용 부동산#차입금 이자#손금불산입

형사판례

무허가 증권업 영업과 알선수재죄, 그 경계는 어디까지?

허가 없이 회사채를 반복적으로 인수하고 매매한 행위는 증권거래법 위반이며, 로비 목적으로 형식상 이사 직함을 이용하여 금품을 수수한 행위는 알선수재에 해당한다.

#무허가 증권업#알선수재#회사채 인수#매매

형사판례

무허가 인력 공급, 불법입니다!

돈을 받고 사람들을 회사에 취업시켜주는 '인력 공급 사업'은 노동부 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허가 없이 인력 공급 사업을 하면 불법입니다.

#무허가 인력공급#불법#인력공급사업#노동부 허가

생활법률

돈 빌려주는 곳, 대부업? 제대로 알고 이용하자!

급전 필요시 대부업 이용은 등록 업체 여부, 이자율 등을 꼼꼼히 확인하고 신중하게 결정해야 하며, 미등록 업체 이용은 불법이며 위험하다.

#대부업#등록대부업체#미등록대부업체#불법사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