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미군 PX에서 면세품을 판매한 행위가 관세포탈죄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주한미군 PX 지배인이었던 피고인은 관광객 등 면세 혜택이 없는 사람들에게 면세품을 판매했습니다. 검찰은 피고인을 관세 및 방위세 포탈 혐의로 기소했습니다.
쟁점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원심의 무죄 판결을 유지했습니다.
1. 경한 범죄사실 직권 인정 여부
법원은 공소사실과 동일성이 인정되는 범위 내에서 더 가벼운 범죄사실을 직권으로 인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인정되는 범죄사실이 중대하여 처벌하지 않으면 정의와 형평에 반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법원이 직권으로 그 범죄사실을 인정하지 않더라도 위법하지는 않습니다 (형사소송법 제254조, 제298조).
2. 관세포탈 방조죄 성립 여부
이 사건에서 피고인은 면세품 판매 행위를 했지만, 실제 관세 납부 의무자는 면세품을 구매한 사람입니다. 따라서 피고인은 관세포탈죄의 정범이 아니라 방조범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관세포탈의 정범으로 기소된 사건에서, 심리 과정에서 한 번도 언급되지 않은 방조 혐의를 공소장 변경 없이 유죄로 인정하는 것은 피고인의 방어권 행사에 불이익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경우 방조 혐의를 인정하지 않더라도 정의와 형평에 반한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결론
미군 PX 지배인이 면세 대상이 아닌 사람에게 면세품을 판매한 행위는 관세포탈의 방조에 해당할 수 있지만, 이 사건에서는 공소장 변경 없이 방조죄로 처벌하는 것은 피고인의 방어권을 침해할 수 있으므로 무죄 판결이 내려졌습니다. 본 사례는 공소장 변경과 방어권 보장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판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형사판례
군인에게만 면세로 판매해야 할 물품을 일반인에게 판매했더라도, 판매자는 조세포탈죄로 처벌할 수 없다.
형사판례
보세구역에서 세관의 허가 없이 물품을 반출하면 관세를 내지 않겠다는 의도가 있다고 보아 관세포탈죄가 성립합니다. 나중에 세금계산서를 발행하거나 관세를 추징당하더라도 처음부터 관세를 납부할 의사가 없었다면 관세포탈죄가 인정됩니다.
형사판례
세금을 내야 하는 물건을 몰래 들여오려다 적발된 경우, 언제 범죄가 완성된 것으로 볼 것인가(기수시기)와 방위세 관련 법이 죄형법정주의에 위반되는지 여부에 대한 판결입니다.
형사판례
보세공장에서 수입면허 없이 물품을 반출한 행위는 관세포탈죄가 아니라 무면허반출죄에 해당한다는 판결. '보세장치장'이라는 용어의 해석 범위가 쟁점이 되었음.
형사판례
주한미군 부평교역처 보급창 직원들이 유통기한 지난 면세 맥주를 폐기물 처리업체에 넘긴 후 실제로는 외부에 판매하여 관세법 및 식품위생법 위반으로 처벌받은 사건. 또한, 무허가 폐기물 처리업체에 폐기물을 위탁 처리하여 폐기물관리법 위반으로 처벌받은 사건. 이 판결은 폐기물관리법상 양벌규정의 적용 범위와 주한미군 면세품의 국내 판매가 관세법상 수입으로 인정되는지 여부를 명확히 하였습니다.
형사판례
관세포탈 혐의로 공동정범으로 기소된 피고인이 실제로는 방조 행위를 했더라도, 공소장에 방조 혐의가 명시되지 않았다면 법원은 방조죄로 처벌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