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0.10.29

민사판례

민주화운동 보상과 관련된 재심, 승소 가능성 열리다!

과거 국가폭력으로 고통받았던 민주화운동 관련자들이 국가로부터 보상을 받는 과정에서, 받을 수 있는 보상의 범위를 제한하는 법 조항에 대한 위헌 결정이 나왔습니다. 이 결정으로 인해 과거 보상 범위 제한으로 충분한 보상을 받지 못했던 분들에게 다시 한번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 어떤 내용인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과거 법률의 문제점: 정신적 손해 보상 제한

이전 '민주화운동 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 등에 관한 법률'(이하 구 민주화보상법) 제18조 제2항은 국가로부터 보상금을 받으면 민사소송으로 정신적 손해배상(위자료)을 청구할 수 없도록 했습니다. 즉, 국가의 보상금 수령이 마치 법원의 화해 결정처럼 효력을 가지는 것으로 간주했던 것입니다. 이 때문에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겪었던 정신적 고통에 대해 추가적인 보상을 받을 길이 막혀 있었습니다.

헌법재판소의 결정: 정신적 손해 보상 제한은 위헌!

하지만 헌법재판소는 2018년 8월 30일, 구 민주화보상법 제18조 제2항 중 불법행위로 인한 정신적 손해에 관한 부분이 위헌이라고 결정했습니다 (2014헌바180등). 즉, 국가에서 보상금을 받았더라도 고문 등 불법행위로 인한 정신적 손해는 별도로 청구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재심 가능성 확보: 과거 판결 뒤집을 수 있을까?

이번 헌법재판소의 결정은 법원을 구속하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 더 중요한 것은, 이 결정으로 인해 과거 위헌 조항 때문에 패소했던 소송에 대해 재심을 청구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는 점입니다. (헌법재판소법 제75조 제7항)

실제로 이번 대법원 판결 (대법원 2021.10.14. 선고 2019다272066) 에서도 위헌 결정 이전에 확정된 판결에 대해 재심을 인용하여 피해자들이 정신적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도록 판결했습니다. 이 사건에서 원고들은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국가의 불법행위로 정신적 손해를 입었지만, 과거 법률 때문에 패소했었습니다. 하지만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 이후 재심을 청구했고, 대법원은 재심 청구를 받아들여 원고들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결론: 정의로운 결과를 향한 한 걸음

이번 판결은 과거 국가폭력으로 고통받은 민주화운동 관련자들에게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과 대법원의 판결을 통해, 과거의 잘못된 법률 적용으로 인한 피해를 구제하고 정의를 실현하는 데 한 걸음 더 나아가게 되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민주화운동 보상과 관련된 정신적 손해배상, 받을 수 있을까?

헌법재판소가 민주화운동 보상법 일부 조항에 대해 위헌 결정을 내린 경우, 해당 결정은 법원을 구속하며, 이전에 보상금을 받았더라도 정신적 손해에 대한 국가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는 대법원 판결.

#민주화운동#보상법#위헌#국가배상

민사판례

민주화운동 보상금과 재심 무죄, 그 후 국가배상은 가능할까?

민주화운동 관련 불법 구금 및 고문으로 유죄판결을 받고 보상금을 수령한 사람이 이후 재심에서 무죄를 받았을 경우, 추가 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대법원은 보상금 수령 시 모든 피해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아 추가 배상 청구를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일부 대법관들은 재심 무죄 판결로 새롭게 밝혀진 피해에 대해서는 추가 배상이 가능해야 한다는 반대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민주화운동 보상금#재심 무죄#추가 배상#대법원 판결

민사판례

국가배상청구와 위헌결정의 효력: 기판력을 넘어 정의를 찾아서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은 이전에 확정된 판결의 효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위헌 결정으로 인해 이전 판결의 근거가 된 법률 조항이 위헌으로 판명된 경우, 이전 판결의 기판력에도 불구하고 다시 소송을 제기하여 권리를 구제받을 수 있습니다.

#위헌결정#기판력#재소송#국가배상

민사판례

과거사 피해 배상과 소멸시효, 그리고 재심! 알아두면 힘이 되는 법률 이야기

민주화운동 피해보상 관련 법률의 위헌 결정에 따른 재심 가능성과 과거사 진실규명 결정 이후 국가배상 청구 소멸시효 기산점에 대한 판례

#과거사 진실규명#국가배상#재심#소멸시효

민사판례

5·18 및 과거사 사건 피해보상, 소멸시효 적용은?

이 판결은 광주민주화운동 관련 보상금을 받았더라도 정신적 손해에 대한 배상청구를 할 수 있고, 과거사 사건 피해자의 손해배상청구에 장기 소멸시효가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명확히 한 중요한 판례입니다.

#광주민주화운동#국가배상#정신적 손해배상#소멸시효

민사판례

헌법소원 인용 후 재심 청구, 누구에게 가능할까?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결정이 난 법률 때문에 불리한 판결을 받았다면 재심을 청구할 수 있지만, 애초에 헌법소원을 제기할 자격이 없었던 사람은 재심 청구도 할 수 없다는 판례입니다.

#헌법소원#재심#위헌#자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