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5.04.15

형사판례

밤에 칼 들고 협박하면 무조건 가중처벌? 위헌 결정으로 무죄?!

여러분, 밤에 칼을 들고 누군가를 협박하는 건 당연히 엄중한 범죄입니다. 그런데 이런 행위에 대해 무조건 가중처벌하는 법 조항이 있었는데,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결정을 내렸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판결 사례를 쉽게 풀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피고인은 밤에 칼을 들고 피해자를 협박한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원심 법원은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이하 폭처법)' 제3조 제2항에 따라 유죄를 선고했습니다. 이 조항은 밤에 흉기 등 위험한 물건을 휴대하여 협박하는 경우, 일반 협박죄보다 더 무겁게 처벌하도록 규정하고 있었습니다.

쟁점

그런데 문제는 원심 판결 이후, 헌법재판소가 바로 이 폭처법 제3조 제2항 중 '야간에 흉기 기타 위험한 물건을 휴대하여 형법 제283조 제1항(협박)의 죄를 범한 자' 부분에 대해 위헌 결정(2004. 12. 16. 선고 2003헌가12 전원재판부 결정)을 내렸다는 점입니다. 즉, 밤에 흉기를 들고 협박했다는 이유만으로 가중처벌하는 것은 헌법에 어긋난다는 것이죠.

대법원의 판단

이에 따라 대법원은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했습니다.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으로 해당 법 조항은 효력을 잃었기 때문에, 이 법을 적용하여 유죄를 선고한 원심 판결은 더 이상 유지될 수 없다는 것이죠. 쉽게 말해, 위헌 결정으로 해당 법조항이 소급 적용되어 무효가 되었기에, 그 법에 따라 유죄 판결을 받았더라도 무죄가 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판단의 근거는 형사소송법 제325조, 헌법재판소법 제47조 제2항, 그리고 관련 판례(대법원 1992. 5. 8. 선고 91도2825 판결, 1997. 11. 14. 선고 97도842 판결)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결론

이 사례는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이 실제 재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예시입니다. 비록 밤에 흉기를 들고 협박하는 행위는 매우 위험하지만, 헌법에 어긋나는 법 조항을 적용하여 처벌할 수는 없다는 법치주의 원칙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피고인의 다른 범죄 혐의에 대해서는 다시 재판이 진행될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야간 흉기 협박, 단순 협박으로만 처벌할 수 있을까?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결정으로 효력을 잃은 법 조항으로 기소된 경우, 법원은 해당 공소사실에 다른 법 조항을 적용할 수 있는지 검토해야 하며, 검사에게 공소장을 보완하도록 지시해야 한다. 법원이 임의로 다른 죄를 선택해서 판결해서는 안된다.

#위헌#법 조항#기소#공소장 보완

형사판례

밤에 협박을 시작했지만, 낮에 전달되면 가중처벌 안 된다? 야간협박죄 성립요건

밤에 협박을 시작했더라도, 상대방이 협박 내용을 알게 된 시점이 낮이라면 '야간협박죄'가 아니라 일반 협박죄로 처벌된다.

#야간협박죄#기수시점#주간#협박

형사판례

칼은 꼭 휘둘러야만 '위험한 물건'일까요? - 특수협박죄에 대한 오해와 진실

회칼을 휘두르거나 던지는 행위는 위험한 물건을 휴대하여 협박하는 특수협박죄에 해당하며, 상해를 입혔다면 특수상해죄도 성립한다. 단순히 욕설과 함께 회칼을 던진 경우에도 협박죄가 인정될 수 있다.

#회칼#협박#특수협박죄#폭행

형사판례

헌법재판소 위헌결정 효력과 특정범죄가중법 제5조의4 제6항

헌법재판소가 특정범죄 가중처벌법 일부 조항에 대해 위헌 결정을 내렸지만, 이 결정이 다른 조항까지 무효화하는 것은 아니라는 대법원 판결. 즉, 위헌 결정은 해당 조항에만 효력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특정범죄 가중처벌법#위헌결정#효력범위#부분위헌

형사판례

협박죄, 상습적으로 저지르면 더 무거운 죄일까요? - 상습범 처벌에 대한 오해와 진실

검사가 '특수협박'으로 기소했는데, 법원이 공소장 변경 없이 더 무거운 죄인 '상습특수협박'으로 처벌할 수는 없다는 판결입니다.

#공소장변경#특수협박#상습특수협박#방어권

형사판례

흉기 휴대 폭행, 징역 1년 이상은 과한 처벌일까?

흉기를 들고 폭행하는 경우 1년 이상의 징역형에 처하도록 한 법률 조항이 지나치게 가혹해서 위헌이라는 주장에 대해, 대법원은 해당 법률 조항이 헌법에 어긋나지 않는다고 판결했습니다.

#흉기 휴대 폭행죄#위헌 여부#합헌#과잉금지원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