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안녕하세요, 쾌적하고 안전한 항해를 위한 필수 정보를 알려드리는 '바다지킴이'입니다! 오늘은 배를 타고 해외여행이나 무역을 할 때 꼭 필요한 선박위생 증명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꼭 필요한 절차이니, 선장님들과 선박 소유자분들은 주목해주세요!
1. 선박위생 증명서는 왜 필요할까요?
선박을 통해 전염병이 국내외로 퍼지는 것을 막기 위해, 선박의 위생 상태를 검사하고 증명하는 제도입니다. 깨끗하고 안전한 항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필수적인 절차라고 할 수 있죠. (관련 법률: 검역법 제27조)
2. 선박위생 증명서의 종류
선박위생 증명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3. 증명서 발급 절차
선장 또는 선박 소유자는 검역소장에게 신청서와 부표를 제출하여 증명서 발급을 신청합니다. (검역법 시행규칙 제21조제1항) 검역소에서는 신청 접수 후 선박위생관리 점검표에 따라 검역 감염병 병원체 오염 여부와 감염병 매개체 유무 등을 조사합니다.
4. 증명서 유효기간 및 연장
두 종류의 증명서 모두 발급일로부터 6개월간 유효합니다. (검역법 제27조제1항, 제2항, 제3항)
특별한 사유 (선적지로 돌아가는 경우, 검역 조사/조치 이행 불가능한 경우 등) 가 있는 경우, 검역소장은 증명서 유효기간을 최대 1개월까지 연장할 수 있습니다. (검역법 제27조제4항, 검역법 제12조, 제15조)
5. 유효기간 만료 또는 증명서 미소지 시
증명서 유효기간이 지났거나, 증명서를 가지고 있지 않거나, 증명서에 재검사 필요 기재가 있는 선박은 검역장소에서 다시 검역조사를 받아야 합니다. (검역법 제27조제5항)
6. 감염병 매개체란?
"감염병 매개체"는 쥐, 모기 등 공중보건에 위해한 감염성 병원체를 퍼뜨릴 수 있는 설치류나 해충을 말합니다. (검역법 제2조제6호, 검역법 시행규칙 제1조의2)
이처럼 선박위생 증명서는 안전한 해상 교통과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관련 규정을 잘 숙지하여 안전하고 쾌적한 항해를 즐기시기 바랍니다!
생활법률
해외여행 및 수출입 시, 운송수단, 물품, 승객 등에 대한 감염병 예방 및 검역 관련 증명서(감염병 매개체 구제/소독/병원체 검사 증명서)는 검역소장에게 신청서를 제출하여 발급받을 수 있다.
생활법률
국내 입항 선박은 감염병 유입 방지를 위해 승객 명부, 건강상태 질문서, 선박 보건상태 신고서 등을 제출하고 서류검역 또는 승선검역을 받아야 하며, 필요시 보건위생조사 또는 재검역을 받을 수 있다.
생활법률
해외 수산물 수출 시, 검역증명서 발급 필수이며, 검역 불합격 시 반송·소각·매몰되고 관련 비용은 원칙적으로 수출업자 부담입니다.
생활법률
해외에서 동물을 데려올 땐 검역증명서가 필수이며, 검역 불합격 시 소각·매몰될 수 있고 관련 비용은 원칙적으로 화물주 부담이다.
생활법률
해외직구 시 동물, 축산물 등 지정검역물은 검역증명서가 필요하며, 검역 불합격 시 폐기 처분 및 300만원 이하 벌금 부과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생활법률
검역법에 따라 질병관리청은 해외 전염병 유입 방지를 위해 감염자 격리, 소독, 운송수단 제한 등의 조치를 시행하며, 검역감염병 외 감염병 발견 시에도 지자체에 통보하고 예방조치를 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