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4.07.09

세무판례

배우자도 과점주주로서 세금 납부 의무를 질 수 있을까?

회사가 세금을 못 낼 때, 주식을 많이 가진 주주들이 대신 세금을 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제2차 납세의무라고 하는데요, 오늘은 배우자도 과점주주로서 이러한 세금 납부 의무를 질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를 살펴보겠습니다.

과점주주란 무엇일까요?

간단히 말해, 특정 주주와 그 특수관계인들이 회사 주식의 과반수(51% 이상)를 소유하고 있는 경우, 이들을 과점주주라고 합니다. 회사가 세금을 내지 못하면, 이 과점주주들에게 제2차 납세의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례를 통해 알아보자!

이번 판례의 원고는 남편이 경영하는 회사의 주식 일부를 소유하고 있었습니다. 남편은 회사 주식의 과반수 이상을 소유한 과점주주였고, 회사가 세금을 내지 못하게 되자 원고에게도 제2차 납세의무가 있다고 판단되었습니다. 원고는 자신은 회사 경영에 참여하지 않았고, 단순히 남편의 배우자라는 이유만으로 세금을 내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했습니다.

법원의 판단은?

법원은 원고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국세기본법 제39조 제1항 제2호 (다)목에 따르면, 회사 경영에 실질적으로 관여하지 않더라도 과점주주인 배우자 또는 직계존비속에게는 제2차 납세의무가 있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즉, 원고는 과점주주인 남편의 배우자로서 과점주주 집단에 속하고, 주식을 소유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제2차 납세의무를 지게 되는 것입니다.

핵심 정리

  • 배우자도 과점주주 집단에 포함되면 제2차 납세의무를 질 수 있습니다.
  • 회사 경영 참여 여부는 제2차 납세의무 발생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 과점주주 해당 여부는 주식 소유 여부로 판단하며, 과세관청이 주주명부, 주식이동상황명세서, 법인등기부등본 등으로 입증합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국세기본법 제39조 제1항 제2호 (다)목, 제2항
  • 행정소송법 제26조[입증책임]
  • 대법원 1995. 3. 24. 선고 94누13077 판결
  • 대법원 1995. 12. 22. 선고 95누13203 판결
  • 대법원 1996. 12. 6. 선고 95누14770 판결
  • 대법원 1991. 7. 23. 선고 91누1721 판결
  • 대법원 1992. 12. 11. 선고 92누10906 판결
  • 대법원 1994. 8. 12. 선고 94누6222 판결
  • 대법원 1995. 10. 12. 선고 94누14001 판결

이처럼 과점주주는 실제 경영에 참여하지 않더라도 세금 납부 의무를 질 수 있으므로, 주식 투자 시 유의해야 합니다. 특히, 배우자 또는 가족이 경영하는 회사의 주식을 소유하고 있다면 관련 법규를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회사 세금, 내 주식 지분만큼만 책임질까? 과점주주의 세금 납부 책임 알아보기

회사가 세금을 내지 못했을 때, 주주들이 대신 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제2차 납세의무라고 합니다. 이 판례는 어떤 주주가 제2차 납세의무를 지는 '과점주주'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기준을 명확히 했습니다. 과거에는 단순히 과반수 주식을 가진 주주 집단에 속하면 제2차 납세의무를 졌지만, 법 개정 후에는 **실제로 회사 경영을 지배했는지** 여부가 중요해졌습니다.

#과점주주#제2차 납세의무#실질적 지배#경영 관여

일반행정판례

과점주주에 대한 제2차 납세의무, 누가 책임져야 할까?

회사가 세금을 못 낼 때, 회사 주식의 대부분을 소유하고 실질적으로 회사를 지배하는 주주(과점주주)에게 세금을 대신 내도록 하는 제2차 납세의무가 언제 발생하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이 판례는 주식을 가장 많이 가진 주주가 회사 경영을 실질적으로 지배하는지, 그리고 회사 재산으로 세금을 낼 수 없는 상황인지를 중점적으로 판단했습니다.

#과점주주#제2차 납세의무#실질 지배#징수 부족

세무판례

과점주주에게 부과되는 세금, 제2차 납세의무란 무엇일까요?

회사가 세금을 못 낼 경우, 회사 주식의 과반수를 가진 주주들에게 제2차 납세의무가 있는데, 이 판례는 과점주주의 범위, 납세고지서의 효력, 그리고 여러 명의 과점주주가 있을 경우 책임 분담 여부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과점주주#제2차 납세의무#납세고지#책임분담

세무판례

과점주주의 제2차 납세의무, 누가 얼마나 책임질까?

회사가 세금을 못 낼 때, 주식을 많이 가진 과점주주에게 납세 의무가 있는데, 그 범위는 어디까지인가에 대한 판례입니다. 특히 친족 등 특수관계인이 주식을 많이 가지고 있을 때, 가족 구성원 중 한 명이라도 회사 경영에 참여하면 다른 가족 구성원도 세금 납부 책임이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과점주주#제2차 납세의무#특수관계인#주식

세무판례

회사 돈 안 내면 누가 책임져야 할까? - 과점주주의 제2차 납세의무

회사가 세금을 내지 못했을 때, 주식을 많이 가진 사람 중 누가 실제로 회사 경영을 좌지우지했는지에 따라 세금 납부 책임을 묻는 기준이 바뀌었습니다. 과거에는 단순히 주식을 많이 가진 집단에 속하면 모두 책임을 져야 했지만, 이제는 개별적으로 회사 경영에 실제로 관여하고 지배했는지 여부를 따져서 책임을 묻게 됩니다.

#제2차 납세의무#사실상 지배#경영 관여#주식

일반행정판례

과점주주의 제2차 납세의무, 내 지분만큼만 책임진다!

회사가 세금을 못 낼 때, 회사 주식의 51% 이상을 실질적으로 지배하는 과점주주들은 각자 자신의 지분만큼 세금을 내야 한다. 51%를 혼자 소유하지 않아도 여러 명이 합쳐서 51% 이상이면 각자 자기 지분만큼의 책임을 진다.

#과점주주#제2차 납세의무#지분율#특수관계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