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5.09.28

형사판례

백지수표 위조, 벌금형 없을 수도?!

혹시 영화나 드라마에서 백지수표를 본 적 있으신가요? 받는 사람 마음에 따라 금액을 채워 넣을 수 있는 수표 말이죠. 그런데 만약 이 백지수표가 위조된 것이라면 어떨까요? 위조범에게 징역형과 함께 벌금형까지 내릴 수 있을까요? 오늘은 흥미로운 판례를 통해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쟁점: 백지수표 위조 시 벌금형 부과 가능 여부

이번 사건의 핵심은 "수표 금액이 백지인 수표를 위조했을 때, 벌금형을 함께 부과할 수 있는가?" 입니다. 부정수표단속법 제5조는 "수표를 위조 또는 변조한 자는 1년 이상의 유기징역과 수표금액의 10배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금액이 비어있는 백지수표의 경우, 벌금의 기준이 되는 '수표금액'은 어떻게 정해야 할까요?

법원의 판단: 벌금형 부과 불가

법원은 백지수표 위조의 경우, 벌금형을 부과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부정수표단속법 제5조에서 벌금의 상한선을 정하는 기준이 '수표금액'인데, 백지수표는 금액이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즉, 벌금을 얼마나 부과해야 할지 계산할 근거가 없는 것이죠.

더 나아가, 위조범이 백지수표를 건네면서 금액을 채워 넣을 권한(보충권)까지 함께 주었다고 해도 마찬가지입니다. 실제로 수표에 금액이 기재되기 전까지는 최종 금액을 알 수 없으므로, 보충권의 상한액을 기준으로 벌금을 매길 수도 없다는 것이 법원의 입장입니다.

핵심 정리

  • 백지수표를 위조한 경우, 징역형은 가능하지만 벌금형은 부과할 수 없습니다.
  • 벌금형 부과의 기준이 되는 '수표금액'이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 보충권이 함께 주어졌더라도, 실제 금액이 기재되기 전까지는 벌금형 부과가 불가능합니다.

관련 법조항: 부정수표단속법 제5조

이번 판례는 백지수표 위조에 대한 법적인 해석을 명확히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입니다. 비록 드라마처럼 흔한 상황은 아니지만, 백지수표의 법적 의미와 위조 시 처벌 규정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백지수표 발행과 부정수표 단속법 위반죄

돈이 없다는 걸 알면서도 백지수표를 발행하면 부정수표 단속법 위반죄가 될 수 있지만, 특별한 상황에서는 죄가 안 될 수도 있다는 판결입니다. 특히, 백지수표가 실제로 유통될 가능성이 없고, 나중에 돈을 받으려 할 때는 이미 계좌가 막혀있을 것이 분명한 경우 등이 그렇습니다. 또한 백지수표에 적힌 금액이 발행인이 허락한 금액보다 크다면, 발행인은 허락한 금액까지만 책임을 집니다.

#백지수표#부정수표단속법#유통가능성#계좌막힘

형사판례

백지수표, 금액 부풀리면 수표 위조? 발행인 책임은 어디까지?

금액이 비어있는 백지수표를 받은 사람이 약속된 금액보다 훨씬 큰 금액을 채워넣는 등 악용하더라도, 원래 수표를 발행한 사람은 약속된 금액 범위 내에서는 부정수표단속법 위반의 책임을 져야 한다.

#백지수표#부당보충#부정수표단속법#위조죄

형사판례

백지수표 부당보충과 차용금 사기죄, 그 쟁점과 판단 기준

백지수표에 허용된 금액보다 더 많은 금액을 채워넣었다고 해서 수표 발행인에게 부정수표단속법 위반죄를 물을 수는 없으며, 돈을 빌릴 당시에는 갚을 능력이 있었더라도 나중에 갚지 못하게 되었다면 사기죄로 처벌할 수 없다는 판례입니다.

#백지수표#부당보충#부정수표단속법#사기죄

형사판례

백지수표? 함부로 지우면 안될까요? (유가증권변조죄)

약속어음 발행인에게서 어음 할인을 위임받은 사람이 백지어음에 금액을 적었다가 할인을 못 받게 되자, 어음을 발행인에게 돌려주기 위해 금액을 지웠는데, 이는 권한 내의 행위이므로 유가증권변조죄가 아니다.

#백지약속어음#금액삭제#유가증권변조#무죄

형사판례

백지수표 금액 채우는 건 수표 발행 아니다!

이미 발행된 백지수표에 금액이나 발행일을 나중에 채워 넣는 것은 새로운 수표 발행으로 보지 않는다.

#백지수표#금액/발행일 기재#수표 발행 아님#보충권

형사판례

백지수표와 사기죄, 그리고 허위신고 vs. 무고

이 판례는 백지수표에 적힌 금액이 허락 없이 고쳐 쓰여졌을 때, 수표를 발행한 사람에게 부정수표 단속법 위반죄를 물을 수 있는지, 그리고 허위 신고와 관련된 부정수표 단속법상의 죄와 무고죄가 어떤 관계인지를 다룹니다. 또한 사기죄 유죄 판결을 위해 필요한 증거의 증명력에 대한 법리도 중요하게 다룹니다.

#백지수표#부당보충#부정수표단속법#허위신고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