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사례

버스 뒷좌석, 손잡이 안 잡았다고 과실일까요? 덜컹! 사고 후 억울한 과실 논란, 제대로 알아보기!

버스를 타고 가다가 갑작스러운 덜컹거림에 몸이 붕 뜨는 경험, 한 번쯤 있으시죠? 특히 과속방지턱을 지날 때 운전자가 서행하지 않으면 그 충격이 더욱 커지곤 합니다. 만약 이런 상황에서 부상이라도 입게 된다면? 더욱이 버스 회사 측에서 "손잡이를 잡지 않아 다쳤다"며 책임을 회피한다면 정말 억울하겠죠. 오늘은 버스 뒷좌석에서 손잡이를 잡지 않았다는 이유로 과실이 있다고 주장하는 경우,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사례:

저는 버스 뒷좌석에 앉아 이동 중이었습니다. 그런데 버스 운전자가 과속방지턱을 서행하지 않고 지나가는 바람에 버스가 심하게 덜컹거렸고, 저는 그 충격으로 척추에 상해를 입었습니다. 그런데 버스공제조합에서는 제가 손잡이를 잡지 않아 몸의 균형을 유지하지 못했기 때문에 다쳤다고 주장하며, 제 과실만큼 손해배상금을 깎겠다고 합니다. 정말 손잡이를 잡지 않은 것이 손해배상액을 줄이는 사유가 될 수 있을까요?

손잡이를 잡지 않은 것이 과실일까?

물론 피해자에게도 과실이 있다면 손해배상액을 산정할 때 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단순히 '손잡이를 잡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승객의 과실을 인정하기는 어렵습니다.

실제로 유사한 사례에서 법원은 승객의 손을 들어준 판례가 있습니다. 서울중앙지방법원 2014가단5327760 판결에서는 버스가 과속방지턱을 지나는 순간의 충격으로 몸이 튀어 올랐다가 떨어지면서 다친 경우, 승객이 손잡이나 지지대를 잡지 않은 것이 사고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한 충격이 너무 커서 손잡이를 잡았더라도 부상을 피하기 어려웠을 것이라는 판단입니다. 따라서 해당 사건에서 법원은 승객의 과실을 인정하지 않고 버스공제조합이 승객의 손해를 전액 배상하도록 판결했습니다.

핵심 정리:

버스 탑승 중 운전자의 과실로 인해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단순히 손잡이를 잡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승객의 과실을 인정하기는 어렵습니다. 특히 운전자의 과실이 명백하고 그로 인한 충격이 큰 경우에는 더욱 그렇습니다. 만약 부당하게 과실 비율을 적용받아 손해배상금이 감액되었다면 관련 판례를 참고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버스 급정거 사고! 손잡이 안 잡았으면 나도 책임있을까? 🤔

만원 버스에서 손잡이를 잡지 않다 급정거로 넘어져 다쳤을 경우, 승객의 과실이 인정되어 손해배상액이 줄어들 수 있다.

#버스#급정거#손잡이#과실

상담사례

버스 안에서 넘어졌어요! 보상 받을 수 있을까요? 🤕

버스 안에서 넘어져 다쳤을 경우, 경찰 조사 결과 기사 과실이 없더라도 CCTV, 목격자 등 증거를 수집하여 버스회사에 보상을 요구하고, 거부 시 소송을 통해 배상받을 수 있다.

#버스사고#보상#경찰조사#기사과실

상담사례

버스에서 폰 통화하다 넘어졌어요! 제 잘못도 있을까요? 📞🤕🚌

버스 기사의 부주의로 넘어졌지만, 통화 중 주의 소홀로 승객에게도 일부 과실 책임이 인정되어 손해배상액이 줄어들 수 있다.

#버스#낙상#통화#과실

형사판례

버스 출발 중 넘어진 승객, 운전기사 책임은?

버스정류장에서 승객이 하차한 후 버스가 출발하는 도중, 뒤늦게 자리에서 일어나던 승객이 넘어진 사고에서 운전기사의 과실이 없다고 판결.

#버스#승객 넘어짐#운전기사 무죄#과실 없음

상담사례

택시 승객인데 뒷차가 박았어요! 손해배상은 어떻게 받나요? 😱

택시 승객이 뒷차 과실 100% 사고로 다쳤을 경우, 뒷차 운전자의 무보험/무자력 상황과 관계없이 택시회사에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택시 승객#교통사고#뒷차 과실#손해배상

민사판례

버스 안에서 넘어진 승객, 버스 회사는 책임 없을까?

버스 승객이 정차 시 버스 반동으로 넘어져 다친 경우, 승객 본인의 부주의가 있더라도 버스회사는 손해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

#버스#승객#정차#반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