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7.03.29

민사판례

번역저작권 침해, 어디까지 인정될까?

번역도 저작권으로 보호받는 창작물이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단순히 원작을 다른 언어로 옮기는 것을 넘어, 번역가의 개성과 노력이 담긴 결과물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다른 사람의 번역물과 내 작품이 비슷하다면 어떻게 될까요? 오늘은 번역저작권 침해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통해 그 기준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핵심 쟁점: 번역저작권 침해의 판단 기준

이번 판례의 핵심은 번역저작권 침해를 판단할 때 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비교해야 하는가입니다. 단순히 내용이나 스토리가 비슷하다고 침해라고 볼 수는 없겠죠. 대법원은 번역 과정에서 번역가의 창의성이 발휘되는 부분, 즉 어휘와 구문의 선택, 문장의 길이, 서술 순서, 원작에 대한 충실도, 문체, 어조, 어감 등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사례 분석: 동화와 소설, 번역저작권 침해일까?

이번 판례는 프랑스 소설을 우리말로 번역한 소설(이 사건 소설)과 한 동화(대상 동화) 사이의 번역저작권 침해 여부를 다투었습니다. 두 작품은 등장인물, 상황 설정, 줄거리 등에서 유사점이 있었지만, 대법원은 이러한 요소들은 원작 소설의 창작적 표현이지 번역가의 창작성이 드러난 부분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비록 두 작품에서 유사한 어휘나 구문이 발견되더라도, 그 정도가 미미하고 전체적인 문체나 어조 등에서 차이가 크다면 번역저작권 침해로 보기 어렵다는 것이죠.

번역저작권과 채권자대위권

이 사건에서는 독점적 번역출판권을 가진 출판사가 원작 저작권자를 대신하여(대위하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대상 동화가 원작 소설의 번역물이라고 볼 수 없으므로, 독점적 번역출판권자가 저작권자를 대위하여 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독점적 번역출판권은 원작을 번역하여 출판할 수 있는 권리이지, 다른 사람이 만든 작품에 대해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판례의 의미

이 판례는 번역저작권 침해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번역가의 창작성을 존중하는 중요한 판결입니다. 단순히 내용이 비슷하다고 침해라고 보기 어렵고, 번역 과정에서 번역가의 개성이 드러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판단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참조조문:

  • 저작권법(2006. 12. 28. 법률 제8101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2조 제1호, 제5조 제1항, 제42조, 제91조
  • 민법 제404조

참조판례:

  • 대법원 2004. 7. 8. 선고 2004다18736 판결
  • 대법원 2007. 1. 25. 선고 2005다11626 판결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번역 저작권 침해와 공동불법행위

이 판례는 번역에도 저작권이 있으며, 다른 사람의 번역을 무단으로 수정하여 이용하는 것은 저작권 침해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특히, 출판사가 다른 번역가에게 기존 번역물을 참고하도록 제공하여 무단 개작이 이루어진 경우, 출판사도 저작권 침해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번역저작권#침해#공동불법행위#출판사 책임

민사판례

책 내용이 비슷하다고 무조건 저작권 침해일까?

비슷한 저작물이라고 해서 무조건 저작권 침해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후속 저작물이 기존 저작물을 보고 베꼈다는 증거, 즉 '의거관계'가 입증되어야 합니다. 비슷하다는 사실만으로 저작권 침해를 인정한 원심 판결을 대법원이 파기했습니다.

#저작권 침해#의거관계#유사성#독립적 창작

민사판례

번역서 저작권, 누구에게 있을까? 2차적 저작물과 저작권 양도에 대한 이야기

외국 원작을 번역·해설한 2차적 저작물의 저작권은 계약에 따라 원저작자에게 양도될 수 있다. 계약 내용과 정황상 저작권 양도 의사가 있었다면, 2차적 저작물의 저작권은 번역·해설 작업을 한 사람이 아니라 원저작자에게 있다.

#2차적 저작물#저작권 양도#번역#해설

민사판례

만화, 어디까지 같아야 표절일까? - 출판권 침해와 2차적저작물작성권 침해

단순히 일부 장면이나 대사 등이 유사하다고 해서 출판권 침해가 인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원작과 동일성을 유지하며 출판해야 할 권리인 출판권은, 제3자가 원작을 크게 변경하여 출판한 경우에는 침해되지 않습니다. 변경된 작품은 출판권이 아닌 2차적저작물작성권 침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출판권#침해#동일성#변경

형사판례

책 요약도 저작권 침해가 될 수 있다?!

다른 사람의 글을 요약해서 돈 받고 팔았다면 저작권 침해일까요? 네, 원본과 비슷하다면 저작권 침해입니다. 단순히 다른 언어로 번역하거나 요약했더라도 원본의 핵심 내용과 구성을 그대로 가져왔다면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몰랐다"는 변명도 통하지 않습니다.

#요약물#저작권 침해#실질적 유사성#2차적 저작물

민사판례

저작권, 하나하나 따져보자! 각 권리의 독립성 인정

저작권(저작인격권, 저작재산권)을 구성하는 각각의 권리는 서로 독립적이며, 각 권리 침해에 대한 소송은 별개로 진행해야 합니다.

#저작권#저작인격권#저작재산권#권리 독립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