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1.01.08

형사판례

법이 바뀌면 유죄가 뒤집힐 수 있다?!

법은 고정불변의 것이 아니라 시대적 상황에 따라 변화합니다. 그런데 만약 재판 도중 관련 법이 바뀌면 어떻게 될까요? 오늘 소개할 판례는 바로 이런 상황에서 법원이 어떤 판단을 내리는지 보여주는 흥미로운 사례입니다.

사건의 개요

두 명의 피고인이 재판을 받고 있었습니다. 1심 판결 후 항소심 진행 중에 피고인 1에게 적용된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조항이 개정되었습니다. 그런데, 개정된 법을 적용하면 피고인 1의 행위는 더 이상 범죄가 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피고인 1에게 적용된 법 조항이 항소심 판결 선고 전에 개정되었고, 개정된 법에 따르면 피고인의 행위가 범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원심 판결에는 법령 적용의 오류가 있다고 보고, 피고인 1에 대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으로 돌려보냈습니다 (환송). 반면, 피고인 2의 경우에는 상고이유가 없다고 판단하여 상고를 기각했습니다.

핵심 포인트: 형벌 불소급의 원칙과 시간적 한계

이 판례의 핵심은 형벌 불소급의 원칙입니다. 쉽게 말해, 어떤 행위를 했을 당시에는 죄가 아니었는데 나중에 법이 바뀌어 죄가 된다고 해서 처벌할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반대로, 이 사건처럼 행위 당시에는 죄였지만 나중에 법이 바뀌어 죄가 아니게 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처벌할 수 없습니다. 법은 제정 또는 개정된 시점부터 효력을 가지며, 이전의 행위에까지 소급하여 적용할 수 없다는 시간적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형법 제1조 제1항, 제2항: 범죄와 형벌은 행위 당시의 법률에 의한다는 형벌 불소급의 원칙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 형법 제129조: 공무집행방해죄에 대한 내용입니다. (본 사건의 구체적인 죄명은 명시되지 않았지만, 참조조문으로 언급된 것으로 보아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 형사소송법 제383조: 상고심에서 원심판결을 파기해야 하는 사유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2조 제1항 제1호: 본 사건의 핵심 법조항으로, 개정 전후 내용이 모두 중요합니다.
  • 대법원 1983.9.13. 선고 80도902 판결, 1989.11.14. 선고 88도1251 판결, 1991.1.15. 선고 90도2433 판결: 유사한 법리의 판례들로 참고자료로 제시되었습니다.

이 판례는 법의 시간적 적용 범위와 형벌 불소급의 원칙을 잘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법이 개정될 경우, 개정된 법이 과거의 행위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법 바뀌면 무죄? 꼭 그렇지만은 않아요!

법무사가 개인파산·회생 사건을 수임하여 변호사법 위반으로 기소된 사건에서, 범행 이후 법무사법이 개정되어 해당 업무가 법무사의 업무 범위에 포함되었더라도, 이는 형사법적 관점의 변화를 반영한 법 개정이 아니므로 무죄가 되지 않는다는 판결.

#법무사#개인파산·회생#변호사법 위반#법무사법 개정

형사판례

법 바뀌면 옛날 법대로 처벌 못한다?!

범죄 후 법이 바뀌어서 그 행위가 더 이상 범죄가 아니거나 형량이 줄어든 경우, 법이 바뀐 이유가 과거 법이 잘못되었다는 반성 때문인지와 관계없이 무조건 새로운 법을 적용해야 한다.

#신법 우선 적용#형법 제1조 제2항#면소#무면허운전

형사판례

상습범과 형법 개정, 판결에 미치는 영향은?

이 판례는 상습범의 일부 범죄에 대해 유죄가 확정된 후, 나머지 범죄에 대해 면소 판결을 내릴 수 있는 요건과 형법 개정으로 인해 이전 판결을 파기한 사례를 보여줍니다. 즉, 모든 범죄 행위가 하나의 상습 범죄로 묶여 처벌받아야 하는데, 그 중 일부가 이미 확정판결을 받았다면 나머지는 처벌할 수 없다는 원칙과 관련된 판례입니다. 또한, 형법 개정으로 형량 계산 방식이 바뀌면서 이전 판결을 다시 검토해야 하는 상황을 보여줍니다.

#상습범#면소#유죄 확정#형법 개정

형사판례

공소시효, 법 개정 전후 어떤 법을 적용할까?

2007년 형사소송법 개정 전에 저지른 범죄는 개정 전의 공소시효 규정을 적용해야 하므로, 공소 제기 후 15년이 지나면 공소시효가 완성된 것으로 본다는 판결.

#공소시효#면소#형사소송법#개정 전

형사판례

세금 체납 처벌, 법 바뀌어도 괜찮을까?

법이 개정되어 세금 체납에 대한 처벌 조항이 삭제되었더라도, 그 조항이 삭제되기 *전*에 3회 이상 세금을 체납한 행위는 여전히 처벌할 수 있다. 법 개정이 단순한 정책 변경에 따른 것이고, 과거의 처벌 조항이 부당했다는 반성적 고려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세금 체납#처벌 조항 삭제#소급적용 불가#형벌불소급

형사판례

죄가 없어지거나 형벌이 줄어들면? 무조건 신법 적용!

범죄 후 법이 바뀌어서 죄가 안 되거나 형벌이 줄어들면, 무조건 새 법을 적용한다. 법이 바뀐 이유가 과거 법이 잘못되었다는 반성 때문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형벌완화#소급적용#새 법률 적용#법 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