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뇌물),나.뇌물공여

사건번호:

90도2485

선고일자:

199101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행위시 시행되던 구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2조 제1항 제1호가 항소심판결 . 선고 후 개정시행됨에 따라 피고인의 행위가 개정 법조문의 범죄구성요건을 충족할 수 없게된 경우 항소심판결의 파기 사유 유무(적극)

판결요지

피고인의 행위시에 시행되던 구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2조 제1항 제1호가 원심판결. 선고 후인 1990.12.31. 법률 제4291호의 같은 법 제2조 제1항 제1호로 개정시행됨에 따라 피고인의 행위는 위 개정법조문에 따른 범죄구성요건을 충족할 수 없게 되었다면 결과적으로 원심판결은 법령의 적용을 잘못한 것이 되어 파기할 수밖에 없다.

참조조문

형법 제1조 제1항, 제2항, 제129조, 형사소송법 제383조,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2조 제1항 제1호, 구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1990.12.31. 법률 제429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조 제1항 제1호

참조판례

대법원 1983.9.13. 선고 80도902 판결(공1983,1519), 1989.11.14. 선고 88도1251 판결(공1990,65), 1991.1.15. 선고 90도2433 판결(동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들 【변 호 인】 변호사 강보현 외 3인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0.8.31. 선고 90노1886 판결 【주 문】 피고인 1에 대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이 부분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피고인 2의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1. 직권으로 피고인 정진우의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의 점에 관하여 본다. 피고인 정진우의 이 사건 행위시에 시행되던 구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2조 제1항 제1호는 원심판결 선고 후인 1990.12.31. 법률 제4291호의 같은 법 제2조 제1항 제1호로 개정시행됨에 따라 피고인의 이 사건 행위는 위 개정법조문에 따른 범죄구성요건을 충족할 수 없게 되었으므로 결과적으로 이점에 관한 원심판결은 법령의 적용을 잘못한 것이 되어 그대로 유지될 수 없다. 그러므로 위 피고인의 상고이유에 관하여는 판단할 필요 없이 그에 대한 원심판결을 파기할 수 밖에 없다. 2. 피고인 2의 변호인의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 및 원심이 인용한 제1심 판결이 들고있는 증거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위 피고인에 대한 원심판시의 범죄사실을 인정하기에 넉넉하고, 거기에 지적하는 바와 같은 심리미진이나 채증법칙위배로 인한 사실오인의 위법이 있음을 찾아볼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피고인 1에 대한 원심판결을 파기하여 이 부분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하고 피고인 2의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회창(재판장) 배석 김상원 김주한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법 바뀌면 무죄? 꼭 그렇지만은 않아요!

법무사가 개인파산·회생 사건을 수임하여 변호사법 위반으로 기소된 사건에서, 범행 이후 법무사법이 개정되어 해당 업무가 법무사의 업무 범위에 포함되었더라도, 이는 형사법적 관점의 변화를 반영한 법 개정이 아니므로 무죄가 되지 않는다는 판결.

#법무사#개인파산·회생#변호사법 위반#법무사법 개정

형사판례

법 바뀌면 옛날 법대로 처벌 못한다?!

범죄 후 법이 바뀌어서 그 행위가 더 이상 범죄가 아니거나 형량이 줄어든 경우, 법이 바뀐 이유가 과거 법이 잘못되었다는 반성 때문인지와 관계없이 무조건 새로운 법을 적용해야 한다.

#신법 우선 적용#형법 제1조 제2항#면소#무면허운전

형사판례

상습범과 형법 개정, 판결에 미치는 영향은?

이 판례는 상습범의 일부 범죄에 대해 유죄가 확정된 후, 나머지 범죄에 대해 면소 판결을 내릴 수 있는 요건과 형법 개정으로 인해 이전 판결을 파기한 사례를 보여줍니다. 즉, 모든 범죄 행위가 하나의 상습 범죄로 묶여 처벌받아야 하는데, 그 중 일부가 이미 확정판결을 받았다면 나머지는 처벌할 수 없다는 원칙과 관련된 판례입니다. 또한, 형법 개정으로 형량 계산 방식이 바뀌면서 이전 판결을 다시 검토해야 하는 상황을 보여줍니다.

#상습범#면소#유죄 확정#형법 개정

형사판례

공소시효, 법 개정 전후 어떤 법을 적용할까?

2007년 형사소송법 개정 전에 저지른 범죄는 개정 전의 공소시효 규정을 적용해야 하므로, 공소 제기 후 15년이 지나면 공소시효가 완성된 것으로 본다는 판결.

#공소시효#면소#형사소송법#개정 전

형사판례

세금 체납 처벌, 법 바뀌어도 괜찮을까?

법이 개정되어 세금 체납에 대한 처벌 조항이 삭제되었더라도, 그 조항이 삭제되기 *전*에 3회 이상 세금을 체납한 행위는 여전히 처벌할 수 있다. 법 개정이 단순한 정책 변경에 따른 것이고, 과거의 처벌 조항이 부당했다는 반성적 고려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세금 체납#처벌 조항 삭제#소급적용 불가#형벌불소급

형사판례

죄가 없어지거나 형벌이 줄어들면? 무조건 신법 적용!

범죄 후 법이 바뀌어서 죄가 안 되거나 형벌이 줄어들면, 무조건 새 법을 적용한다. 법이 바뀐 이유가 과거 법이 잘못되었다는 반성 때문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형벌완화#소급적용#새 법률 적용#법 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