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보증기금은 기업들이 대출받을 때 은행에 보증을 서주는 기관입니다. 만약 기업이 대출을 갚지 못하면 기금이 대신 갚아주는 것이죠. 이때 기업은 기금에 보증료, 연체보증료, 추가보증료 등을 내야 합니다.
그런데 만약 은행이 약속을 어겨서 기금이 보증을 안 서줘도 되는 상황이 됐다면, 추가 보증료는 어떻게 될까요? 이번 판례는 바로 이런 상황에 대한 판결입니다.
사건의 개요
한 기업이 기술보증기금의 보증을 받아 은행에서 대출을 받았습니다. 보증서에는 은행이 공장에 1순위 근저당권을 설정해야 한다는 특약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은행은 이를 지치 않았고, 다른 채권자가 먼저 근저당권을 설정했습니다. 결국 기금은 은행이 약속을 어겼다는 이유로 보증을 거부했고, 은행도 이를 받아들였습니다. 기금은 기업의 연대보증인에게 추가보증료를 내라고 요구했지만, 보증인은 거부했습니다.
쟁점
은행의 잘못으로 기금의 보증 의무가 없어진 경우에도, 기업은 추가보증료를 내야 할까요?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추가 보증료를 낼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결론
은행의 잘못으로 기금의 보증책임이 면제된 경우, 기업은 추가보증료를 낼 의무가 없습니다. 이 판례는 기금의 내부 지침이 법적 효력이 없음을 명확히 했습니다.
참조조문
상담사례
은행이 추가담보 설정 약속을 지키지 않았더라도 설정된 주담보 가치만큼은 보증기관의 책임이 감면된다.
민사판례
은행이 대출 조건으로 약속한 담보를 제대로 설정하지 않아 손해가 발생했을 때, 기술신용보증기금은 보증 책임을 지지 않는다. 은행의 잘못에 기술신용보증기금의 실수가 겹쳤더라도, 은행의 잘못이 명확하면 기술신용보증기금은 책임을 면할 수 있다.
민사판례
은행이 신용보증기금과 보증계약을 맺을 때 담보 설정을 약속했지만 이를 지키지 않아 신용보증기금이 보증 책임에서 벗어난 사례입니다.
민사판례
기술신용보증기금의 보증을 받은 대출금을 은행이 기존에 빌려준 돈(기존 채무)을 갚는 데 사용하면, 기술신용보증기금은 보증 책임을 지지 않을 수 있다.
민사판례
회사가 돈을 빌릴 때 신용보증기금이 보증을 서 주고, 은행은 담보를 설정하기로 약속했는데, 회사가 어려워져도 은행이 담보를 설정하면 보증기금은 담보 가치만큼 보증 책임을 면할 수 있다는 판결.
민사판례
신용보증기금이 대출 보증을 하면서 금융기관이 대출금으로 만들어진 시설을 담보로 잡지 않으면 보증책임을 면제해주는 특약을 맺었을 때, 금융기관이 담보를 잡지 못한 데에 **금융기관의 잘못이 없다면** 신용보증기금은 보증책임을 면할 수 없다는 판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