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사례

보증금으로 월세 안 내도 될까요? 흔한 오해 바로잡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보증금과 월세 연체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보증금이 있으니까 월세를 안 내도 되지 않나요?" 라는 질문, 생각보다 많이 받는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안 됩니다!

종종 생활이 어려워지면서 월세를 연체하게 되고, 임대인과 갈등을 겪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보증금 500만원이 있는데, 이걸로 월세 30만원씩 몇 달 치 낼 수 있는 거 아닌가요?"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실 텐데요. 안타깝게도 법적으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보증금의 진짜 역할은 무엇일까요?

보증금은 단순히 월세 대신 내는 돈이 아닙니다. 임대차 계약 종료 후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상황에 대한 담보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임차인이 계약 기간 동안 집을 훼손했거나, 월세를 연체했을 경우, 이러한 손해를 보증금에서 공제하는 것이죠. 즉, 보증금은 임대차 계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임차인의 모든 채무를 담보하는 역할을 합니다. (대법원 1999. 12. 7. 선고 99다50729 판결, 2005. 9. 28. 선고 2005다8323, 8330 판결)

보증금이 있다고 월세를 안 내도 된다? NO!

대법원은 "임차인이 보증금을 냈다고 해서 월세를 안 내도 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명확히 판결했습니다. 보증금이 있다고 해서 월세 납부 의무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며, 월세를 연체하면 계약 위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대법원 1994. 9. 9. 선고 94다4417 판결, 1999. 7. 27. 선고 99다24881 판결)

월세 연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만약 월세를 2개월 이상 연체하게 되면, 임대인은 민법 제640조에 따라 임대차 계약을 해지하고 집을 비워달라고 요구할 수 있습니다. 보증금이 있다고 안심해서는 안 되는 이유입니다.

결론적으로, 보증금은 월세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임대차 계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임차인의 채무를 담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보증금이 있다고 해서 월세를 연체하면 안 되며, 연체 시 계약 해지 등의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친구 돈 받으려 세입자 보증금 압류했는데… 😥 연체 월세는 어떻게 되나요?

친구에게 빌려준 돈을 받기 위해 친구의 전세 보증금에 전부명령을 받았지만, 전부명령 효력 발생 시점 때문에 친구의 연체 월세를 제외한 금액만 받을 수 있다.

#전부명령#효력발생시점#연체월세#보증금

민사판례

전세보증금에서 미납 월세, 그냥 빼면 안 돼요!

임대차 계약 기간 중에는 연체 차임이 있다고 해서 임대인이 마음대로 보증금에서 빼갈 수는 없다. 하지만 임대인이 보증금에서 빼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밝히면 계약 종료 전이라도 가능하다.

#임대차보증금#연체차임#공제#의사표시

상담사례

임대차 계약, 부당한 위약금과 연체료? 내 보증금 돌려받을 수 있을까?

과도한 임대차 계약 위약금(보증금 10%+실제 손해배상)과 연체료(월 5%)는 약관법에 따라 무효일 수 있으며, 법정 연체료(연 6%)만 지불하면 된다. 단, 계약 해지 조항 자체는 유효할 수 있으므로 계약서를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임대차 계약#부당한 위약금#연체료#약관의 규제에 관한 법률

민사판례

월세 밀렸는데 보증금에서 바로 빼도 될까요? 소멸시효 완성된 월세는 어쩌죠?

임대차 계약 중 연체된 차임이라도 소멸시효가 완성되었다면, 임대인은 임대차보증금에서 바로 상계할 수 없지만, 최종적으로는 보증금에서 공제할 수 있다.

#연체차임#임대차보증금#상계#소멸시효

상담사례

보증금 못 받았는데, 월세는 계속 내야 하나요? 😫 임대차 종료 후 차임 지급 의무

전/월세 계약 종료 후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했더라도, 보증금 반환 전까지는 임대차 관계가 유지되므로 월세를 계속 지불해야 하며, 보증금 반환을 위해 내용증명 발송, 임차권등기명령 신청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

#보증금#월세(차임) 지급 의무#임대차 관계 유지#내용증명

민사판례

전세금 있다고 월세 안 내도 될까요? 🙅‍♀️🙅‍♂️

임대차 계약이 끝났더라도 세입자가 집을 비우지 않았다면, 보증금이 있다는 이유로 미납된 월세(연체차임)를 내지 않을 수 없다.

#보증금#월세#연체차임#지급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