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4.02.13

민사판례

보증인이 갚은 돈, 바로 돌려받을 수 있을까? - 상계와 사전구상권 이야기

아파트 분양 계약을 했는데, 건설사가 부도가 나버렸습니다! 이런 경우 분양 대금을 돌려받을 수 있을까요? 오늘은 보증 문제와 관련된 법원 판결을 통해 조금 복잡한 법률 이야기를 풀어보려고 합니다.

사건의 개요

A씨는 B 건설사와 아파트 분양 계약을 체결하고 분양 대금을 납부했습니다. 그런데 B 건설사가 부도가 나면서 회사 정리 절차에 들어갔습니다. A씨는 분양 계약을 해제하고 납부한 분양 대금을 돌려달라고 요구했고, 회사정리절차를 맡은 관리인(C)은 A씨에게 돈을 돌려줘야 했습니다. 그런데 C는 A씨에게 줄 돈이 있으면서도, B 건설사를 위해 보증을 섰던 A씨에게 B 건설사가 진 빚을 이유로 돈을 주지 않고 상계하려고 했습니다. 즉, "B 건설사가 A씨에게 줄 돈과 A씨가 B 건설사에 진 빚을 서로 상계해서 없애자"라고 주장한 것입니다. 과연 이러한 주장이 법적으로 가능할까요?

법원의 판단

법원은 C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보증인이 주채무자(빚을 진 사람)에게 돈을 갚아주고 나중에 돌려받을 권리, 즉 사전구상권에는 주채무자가 보증인에게 빚을 갚으면 보증 책임을 면제해 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 면책청구권(민법 제443조)이라는 항변권이 붙어있습니다. 만약 이러한 사전구상권을 가지고 상계를 허용한다면, 보증인이 일방적으로 상계를 주장함으로써 주채무자의 면책청구권 행사 기회를 박탈하게 되어 부당한 결과가 발생합니다.

쉽게 설명하면, A씨가 B 건설사를 위해 보증을 섰다면, B 건설사가 A씨에게 빚을 갚았을 경우 A씨는 더 이상 보증 책임을 지지 않아도 됩니다(면책청구권). 그런데 만약 상계가 허용된다면, B 건설사가 A씨에게 갚아야 할 돈과 A씨가 B 건설사에 진 빚을 서로 상계해서 없애버리기 때문에, A씨는 B 건설사에 돈을 갚았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보증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게 됩니다. 이는 불합리하기 때문에 법원은 이러한 상계를 허용하지 않은 것입니다.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 민법 제442조 (구상권) 보증인이 주채무를 변제한 때에는 주채무자에 대하여 구상권이 있다.
  • 민법 제443조 (면책청구권) 주채무자가 보증인에게 자기의 채무를 변제할 때에는 보증인에 대하여 상대방에게 그 채무의 변제를 받을 것을 청구할 수 있다.
  • 민법 제492조 (자동채권, 수동채권) 상계는 당사자 쌍방이 서로 다른 사람에게 같은 종류를 목적으로 한 채권을 가질 때에 행사할 수 있다. 상계하는 채권을 자동채권, 상계를 당하는 채권을 수동채권이라 한다.
  • 대법원 2001. 11. 13. 선고 2001다55222, 55239 판결: 수탁보증인이 주채무자에 대하여 가지는 사전구상권에는 민법 제443조 소정의 면책청구권이 항변권으로 부착되어 있으므로 이를 자동채권으로 하는 상계는 허용될 수 없다.

결론

보증 문제는 복잡하고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번 판례를 통해 보증인의 사전구상권과 상계에 대한 법원의 입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혹시 비슷한 상황에 처해있다면 관련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보증인의 사전구상권과 상계, 그리고 판결 이유에 대해 알아보자!

이 판결은 보증을 선 기업(보증인)이 돈을 갚아야 할 기업(주채무자)에게 돈을 미리 청구할 수 있는 권리(사전구상권)를 가지고 있을 때, 이 권리와 주채무자에 대한 다른 빚을 서로 상쇄할 수 있는지(상계) 여부를 다룹니다. 또한, 판결문에 어떤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보증인#사전구상권#상계#담보제공청구권

민사판례

보증인의 구상권과 상계, 알고 있어야 할 것들

## 제목: 물상보증인의 구상권, 사전구상권과 상계 돈을 빌려준 사람이 돈을 못 받을 경우를 대비해 빌린 사람의 물건을 담보로 잡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빌린 사람이 돈을 갚지 못하면 돈을 빌려준 사람은 담보물을 팔아서 돈을 회수할 수 있습니다. 만약 제3자가 빌린 사람을 위해 담보를 제공했다면, 제3자는 돈을 빌려준 사람에게 돈을 대신 갚아주고 빌린 사람에게 돈을 돌려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이를 구상권이라고 합니다. **구체적인 내용:** * **물상보증인의 채무 면책적 인수**: 제3자가 빌린 사람의 빚을 대신 갚는 것을 '면책적 채무인수'라고 합니다. 면책적 채무인수를 했다고 해서 바로 빌린 사람에게 돈을 돌려받을 권리가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 **사전구상권**: 제3자가 돈을 빌려준 사람에게 돈을 갚기 전에 미리 빌린 사람에게 돈을 돌려받을 권리를 '사전구상권'이라고 합니다. 사전구상권은 빌린 사람이 돈을 갚지 못할 것 같은 특별한 사정이 있을 때 행사할 수 있습니다. * **상계**: 돈을 빌려준 사람과 빌린 사람이 서로 돈을 주고받을 관계에 있는 경우, 빌려준 돈과 받을 돈을 서로 상쇄하는 것을 '상계'라고 합니다. 사전구상권이 있는 경우에도 상계가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판결 내용:** 이 판결에서는 물상보증인이 면책적 채무인수를 한 경우, 빌린 사람에게 돈을 돌려받을 권리가 있는지, 사전구상권을 가지고 상계를 할 수 있는지 등이 쟁점이 되었습니다. 법원은 면책적 채무인수만으로는 구상권이 생기지 않고, 사전구상권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참조조문:** * 민법 제370조, 제341조, 제453조, 제441조, 제442조, 제443조, 제492조 제1항, 제498조 **참조판례:** * 대법원 1992. 9. 25. 선고 91다37553 판결 * 대법원 2004. 5. 28. 선고 2001다81245 판결 * 대법원 2012. 2. 16. 선고 2011다45521 전원합의체 판결

#물상보증인#구상권#사전구상권#상계

민사판례

보증섰는데 회사가 어려워졌어요! 빚 갚아야 하나요? - 상계와 대환에 대한 법원의 판단

다른 사람의 빚을 보증한 사람이 주채무자에게 돈을 받을 권리(사전구상권)로 자신의 빚을 갚을 수 있는지(상계), 그리고 빚을 새 빚으로 갈아탄 경우(대환) 원래 빚에 대한 보증이 부당한 무상행위로 취소될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결론적으로, 사전구상권으로 상계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고, 단순 대환은 최초 보증 시점을 기준으로 무상행위 여부를 판단하므로 이 사건에서는 무상행위 부인권 행사가 불가능하다고 판결했습니다.

#보증인#상계권#사전구상권#대환

민사판례

파산 임대인에게 보증금 돌려받기, 생각보다 쉽지 않네요!

집주인이 파산한 후, 세입자가 집주인에게 줄 돈에서 전세금/월세 보증금을 빼는 것은 (상계 또는 공제) 원칙적으로 안 된다. 세입자가 집주인에게 돈을 빌려준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이는 다른 채권자들과 공평하게 변제받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파산#임대인#임차인#보증금

민사판례

빚 갚아준 보증인, 억울함 호소하다! 채권자취소소송에서 수익자의 상계 주장은 인정될까?

빚진 사람이 재산을 빼돌려 빚을 갚지 못하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한 채권자취소소송에서, 재산을 받은 사람(수익자)은 빼돌린 사람에게 돈을 갚았다는 이유로 갚아야 할 돈을 줄일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채권자취소소송#수익자#상계#공제

상담사례

보증금에서 원상복구비용, 미리 떼갈 수 있을까? (feat. 채권양도)

세입자가 보증금 반환 채권을 양도한 경우, 집주인은 사전 약정된 원상복구비용을 미리 공제할 수 없지만, 실제 발생한 원상복구비용은 공제 가능하다.

#보증금#원상복구비용#채권양도#선공제 약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