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울한 사고, 보험사는 보상을 거부했습니다.
음주운전 중 시비가 붙어 상대방이 차 보닛 위에 매달렸습니다. 그를 떨어뜨리려고 차를 지그재그로 운전하다가 결국 떨어져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가해자는 상해를 입힐 의도는 있었지만 사망까지는 예상하지 못했다고 주장하며 보험사에 보험금 지급을 요청했지만, 보험사는 "고의로 인한 사고"라며 거부했습니다. 과연 보험금을 받을 수 있을까요?
대법원의 판단은?
대법원은 보험금을 지급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자동차보험 약관에서 "고의에 의한 손해"를 보험사가 보상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지만, 이는 엄격하게 해석해야 한다는 것이죠.
이 사건에서 가해자는 상대방이 차에서 떨어져 다칠 것이라고 예상했을 수는 있지만, 사망까지 예상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고의에 의한 손해"가 아니므로 보험사는 보험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핵심 정리
단순히 상해를 의도했더라도 사망이라는 결과까지 의도했다고 보기 어려운 경우, 보험사는 보험금을 지급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보험 약관의 "고의"는 엄격하게 해석해야 하며, 사고 경위와 정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이 판례는 보험금 지급 분쟁에서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습니다.
상담사례
접촉사고 후 도주차량에 매달린 사람이 지그재그 운전으로 떨어져 다친 사고에서, 운전자의 미필적 고의가 인정되어 상해 보험금 지급은 어려우나, 사망사고의 경우는 지급될 수도 있다.
민사판례
술 마시고 운전하다 사고가 나도, 고의로 사고를 낸 것이 아니라면 보험금을 받을 수 있다. 보험 약관에 '음주운전 사고는 보험금을 안 준다'라고 써있더라도, 과실로 인한 사고는 보험사가 보험금을 지급해야 한다.
민사판례
술에 취해 자동차 보닛 위에 올라탄 사람을 태운 채 운전자가 급정거하여 상해를 입힌 경우, 운전자에게 상해 결과 발생에 대한 미필적 고의가 인정되어 자동차보험의 면책사유에 해당한다는 판결.
민사판례
무면허 음주 상태로 훔친 차를 운전하다 사고로 사망한 경우, 보험사는 사망보험금을 지급해야 한다. 면책약관에서 무면허·음주운전 사고를 보상하지 않는다고 해도, 사고가 '고의'가 아닌 '과실'로 발생했다면 보험금을 지급해야 한다.
상담사례
무면허 운전 사고라도 고의가 아니라면 상해보험금을 받을 수 있다. (단, 각 사고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음)
민사판례
술에 취한 동료가 차 보닛에 올라타 장난을 치자, 운전자가 차를 움직여 동료를 떨어뜨렸는데, 동료가 중상을 입은 사고에서 운전자의 고의성을 인정하지 않아 자동차보험 적용을 인정한 판례입니다. 단순히 상해를 입힐 의도는 있었을지라도, 중상해 결과까지 예상하고 한 행동은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