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7.09.21

세무판례

비상장주식의 시가, 어떻게 판단해야 할까? - 공매가액과 경영권 프리미엄

상속이나 증여를 할 때, 비상장주식의 가치를 어떻게 매기는지가 중요한 문제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비상장주식의 시가를 판단하는 기준, 특히 공매가액과 경영권 프리미엄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소개하여 쉽게 풀어드리겠습니다.

쟁점 1: 공매가액은 시가로 볼 수 있을까?

네, 볼 수 있습니다. 과거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2000. 12. 29. 대통령령 제17039호로 개정되기 전) 제49조 제1항 제3호에서는 공매가액을 시가로 인정했습니다. 즉, 상속이나 증여 시점 전후로 해당 주식이 공매로 거래되었다면, 그 가격을 시가로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후 법이 개정되어 특정 조건에서는 공매가액을 시가로 보지 않을 수 있도록 변경되었지만, 공매 과정에 문제가 없었다면 공매가액은 여전히 중요한 시가 판단 기준입니다. (관련 법 조항: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60조 제1항, 제2항, 구 상속세 및 증여세법 시행령 제49조 제1항 제3호)

쟁점 2: 물납된 비상장주식의 공매가액도 시가로 인정될까?

이번 판례에서 다뤄진 사례는 물납된 비상장주식의 공매가액을 시가로 인정한 사례입니다. 물납이란 세금을 현금 대신 재산으로 납부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경우에도 공매 과정에 문제가 없었다면, 그 공매가액은 동종의 비상장주식에 대한 시가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쟁점 3: 경영권과 함께 양도된 주식의 가격은 시가일까?

아니요, 그렇지 않습니다. 회사의 경영권과 함께 주식이 거래된 경우, 그 가격에는 경영권 프리미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경영권 프리미엄이란 경영권을 확보하기 위해 지불하는 추가적인 금액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경영권과 함께 거래된 주식의 가격은 일반적인 주식의 시가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를 시가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관련 판례: 대법원 1982. 2. 23. 선고 80누543 판결, 대법원 1989. 7. 11. 선고 88누12011 판결, 대법원 2003. 6. 13. 선고 2001두9394 판결)

결론적으로, 비상장주식의 시가를 판단할 때 공매가액은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지만, 경영권 프리미엄이 포함된 경우에는 단순히 거래가격을 시가로 볼 수 없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이러한 판례를 통해 비상장주식의 가치 평가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상속 및 증여세 신고 시 적절한 가치를 산정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비상장주식 증여, 시가는 어떻게 판단할까?

증여세를 계산할 때, 비상장회사 주식의 시가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실제 거래 가격이 정상적인 거래를 반영해야 하며, 증권업협회 등록 시 제시된 공모희망가액이나 신주공모가액은 시가로 인정될 수 없다.

#비상장주식#증여세#시가#공모희망가액

세무판례

비상장주식 거래가액, 언제 시가로 인정될까?

비상장주식을 팔 때, 그 거래가격이 시가로 인정되려면 그 거래가 정상적이고 객관적인 거래여야 한다는 판례입니다. 특수관계인과의 거래라 하더라도, 다른 일반적인 거래와 비교하여 정상적인 가격으로 거래되었다면 시가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비상장주식#시가#특수관계인#정상적 거래

세무판례

회사 경영권 포함 주식 양도 가격과 비상장주식 평가

회사 경영권과 함께 주식을 양도할 때, 그 거래가격을 주식의 시가로 볼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비상장주식 평가 시 시가감정을 활용할 수 있지만, 감정 시점과 방법의 객관성 및 합리성이 중요합니다.

#경영권 프리미엄#시가#비상장주식#상속세

세무판례

물납된 비상장주식, 그 가치는 어떻게 정해질까? (수의계약 가격과 시가)

상속세 또는 증여세를 계산할 때, 물납(세금 대신 재산으로 납부)된 비상장주식을 공매(경매와 비슷한 공개 매각)하려 했으나 여러 번 유찰되어 수의계약(개별 협의로 매매)으로 처분한 경우, 그 수의계약 가격을 시가(실제 거래 가격)로 볼 수 있다는 판결.

#물납#비상장주식#수의계약#시가

세무판례

비상장주식 가치평가, 제대로 알고 증여세 내자!

비상장주식을 거래할 때 실제 거래가격이 있다 하더라도, 그 거래가 정상적이지 않으면 세금 계산 시 시가로 인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특히 회사 설립 3년 미만의 비상장주식은 법에서 정한 특별한 방법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비상장주식#시가#실제거래가격#증여세

세무판례

비상장주식 평가,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증여세 계산의 핵심!

증권회사의 유가증권 인수업무 기준인 '유가증권분석 기준'에 따라 평가된 비상장주식의 가액을 상속세법상 시가로 인정할 수 없다는 판결.

#비상장주식#상속세#시가#유가증권분석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