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9.07.23

형사판례

사문서위조죄, 어디까지 위조여야 죄가 될까요?

사문서위조죄는 남의 이름으로 문서를 위조했을 때 성립하는 범죄입니다. 그런데 어느 정도까지 위조해야 죄가 성립하는 걸까요? 쓱싹 몇 글자 고치는 것도 위조일까요? 아니면 완벽하게 똑같이 만들어야 할까요? 오늘은 사문서위조죄가 성립하기 위한 '문서의 작성 정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핵심은 "일반인이 진짜 문서라고 오해할 만큼 그럴듯하게 만들었느냐" 입니다. 단순히 서명이나 도장만 봤을 때 위조인지 아닌지를 따르는 것이 아닙니다. 문서의 형식이나 외관은 물론, 작성된 배경, 문서의 종류와 내용, 그리고 그 문서가 실제 거래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판단합니다.

예를 들어, 계약서를 위조했다고 생각해 봅시다. 단순히 계약서 양식을 다운받아 내용을 채워 넣었다고 해서 바로 사문서위조죄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계약 당사자들이 실제로 계약을 맺을 의사가 있었고, 그 내용대로 계약을 이행했다면 위조라고 보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반대로, 계약 당사자의 동의 없이 계약서를 만들어 금전적인 이득을 취하려 했다면, 비록 서명이나 도장이 없더라도 위조로 인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최근 대법원 판례에서도 이러한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어떤 공사도급완료계약서가 위조되었다고 주장하는 사건이 있었습니다. 법원은 해당 계약서가 진짜 문서처럼 보이도록 충분히 작성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즉, 단순히 계약서라는 형식만 갖춘 것으로는 부족하고, 진짜 계약서처럼 보일 만한 형식과 외관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형법 제231조 (사문서등의 위조·변조)
  • 대법원 1988. 3. 22. 선고 88도3 판결
  • 대법원 2004. 10. 14. 선고 2004도3514 판결

결론적으로, 사문서위조죄는 단순히 문서의 일부를 변경했는지 여부가 아니라, 전체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일반인을 속일 수 있을 정도로 작성되었는지를 기준으로 판단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위조 문서, 어디까지 인정될까? - 사문서 위조죄의 성립 기준

타인 명의의 문서를 위조하려면 단순히 이름만 도용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인이 진짜 문서로 착각할 만큼 완벽한 형식과 외관을 갖춰야 사문서위조죄가 성립합니다.

#사문서위조죄#성립요건#타인명의#형식

형사판례

사문서위조죄, 어디까지 위조로 볼 수 있을까? 그리고 법원은 꼭 공소장 변경을 요구해야 할까?

이 판례는 사문서위조죄가 성립하려면 어느 정도로 문서가 작성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법원이 검사에게 공소장 변경을 요구해야 할 의무가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이 사건에서는 피고인이 작성한 입금확인서가 사문서위조죄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법원이 사문서위조미수죄로 공소장 변경을 요구해야 했는지가 쟁점이었습니다.

#사문서위조죄#공소장변경#문서작성#법원재량

형사판례

오려 붙인 직인, 복사한 문서도 위조일까? 사문서위조죄 성립 여부

다른 서류의 직인을 오려 붙여 복사한 문서라도, 일반인이 진짜 문서로 오해할 정도의 형식과 외관을 갖췄다면 사문서위조죄가 성립한다.

#오려붙인 직인#복사본#위조문서#사문서위조죄

형사판례

문서 위조, 누가 작성했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법인이나 단체 이름으로 된 문서를 위조할 때, 문서에 적힌 작성자가 실제로 존재하는지는 위조죄 성립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또한, 기존의 진짜 문서를 중요한 부분을 바꿔서 완전히 새로운 내용의 문서로 만드는 것도 위조에 해당합니다.

#문서위조#작성자 실존여부 무관#중요부분 변경#새로운 증명력

형사판례

사기죄와 사문서위조죄, 쟁점은 무엇일까요?

이 판례는 사기죄에서의 고의, 특히 미필적 고의의 판단 기준과 사문서위조죄가 성립하기 위한 문서 작성의 정도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피고인은 사기 및 사문서위조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고, 대법원은 원심의 판단이 정당하다고 판결했습니다.

#사기죄#고의#미필적 고의#사문서위조

형사판례

사문서위조죄, 누구의 이름으로 썼는지가 중요합니다!

문서의 제목이나 명칭만으로 작성 명의자를 판단해서는 안 되고, 문서의 형식과 내용, 거래에서의 기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사문서위조#작성명의자 판단기준#문서의 형식과 내용#거래에서의 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