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8.03.13

세무판례

사업 일부 양도해도 제2차 납세의무 생길 수 있습니다!

사업을 여러 곳에서 하다가 그중 일부만 양도했는데, 세금 폭탄을 맞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사업의 일부 양도와 관련된 제2차 납세의무에 대한 중요한 판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사례 소개

A라는 회사는 여러 지점에서 같은 사업을 운영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다 경영상의 이유로 일부 지점을 B회사에 양도했습니다. 그런데 A회사가 세금을 내지 못하게 되자, 세무서는 B회사에 A회사의 미납 세금을 내라고 요구했습니다. B회사는 "일부 지점만 양도받았는데 왜 우리가 세금을 내야 하냐"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B회사가 A회사의 미납 세금에 대한 제2차 납세의무를 진다고 판결했습니다.

그 이유는 국세기본법 제41조 제1항국세기본법 시행령 제22조에 있습니다. 이 법령에 따르면, 사업의 양도·양수가 있는 경우, 양도인의 세금을 양도인의 재산으로 충당해도 부족하면 양수인이 제2차 납세의무를 부담하게 됩니다. 중요한 것은 이때 사업의 양수 여부를 **'사업장별'**로 판단한다는 것입니다. 즉, 여러 사업장 중 일부만 양도받았더라도, 양도받은 그 사업장에 대해서는 제2차 납세의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법원은 B회사가 A회사의 일부 지점을 양도받으면서 해당 지점의 모든 권리와 의무를 포괄적으로 승계했기 때문에, 사업장별로 보면 사업 양수에 해당한다고 판단했습니다. B회사가 지점을 양수한 목적이 외상매출채권 확보였고, 양수 후 손해를 보았다는 사정도 고려 대상이 되지 않았습니다.

관련 판례

이와 유사한 판례로는 대법원 1982. 12. 14. 선고 82누192 판결, 대법원 1988. 5. 10. 선고 88누803 판결, 대법원 1989. 2. 14. 선고 88누1653 판결 등이 있습니다.

결론

사업의 일부를 양도받을 때는 양도인의 미납 세금까지 떠안을 수 있다는 점을 반드시 기억해야 합니다. 양도 계약 전에 양도인의 세금 납부 상황을 꼼꼼히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제2차 납세의무 발생 가능성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미리 대비하지 않으면 예상치 못한 세금 부담으로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사업 양수인의 세금 문제, 알고 보면 간단해요!

사업을 양수한 사람은 원래 사업자의 세금 납부가 부족할 경우 제2차 납세의무를 지게 되는데, 이때 원래 사업자의 세금 부과가 잘못됐다면 양수인도 이를 다툴 수 있다. 또한, 비업무용 토지에 대한 중과세를 피하려면 '정당한 사유'가 있어야 하는데, 이는 구체적인 사안에 따라 엄격하게 판단해야 한다.

#제2차 납세의무#비업무용 토지#정당한 사유#중과세

세무판례

사업 양수인의 세금 납부 의무, 어디까지일까?

사업을 양수한 사람에게 양도인의 체납 세금에 대한 제2차 납세의무를 지울 수 있는 범위와 관련된 소송 절차에 대한 판결입니다. 사업 양수인이 진정한 의미로 사업의 모든 권리와 의무를 넘겨받았는지, 어떤 세금에 대해 제2차 납세의무를 지는지, 그리고 관련 소송을 제기할 때 필요한 절차는 무엇인지가 쟁점입니다.

#사업양수#제2차납세의무#범위#절차

세무판례

사업 양수인의 세금 책임, 어디까지일까?

사업을 양수한 사람은 양도인의 체납 세금에 대해 양수한 재산 가액 한도 내에서 책임을 진다. 또한, 양도 전에 발생했더라도 가산세는 양도 후 부과된 경우 양수인이 책임지지 않는다.

#사업양수#제2차납세의무#체납세금#가산세

세무판례

사업 양도양수와 관련된 세금, 누가 내야 할까? 과점주주의 제2차 납세의무

회사가 다른 회사의 사업을 인수한 후, 인수한 회사(양수회사)가 넘겨받은 사업과 관련된 세금에 대해 2차 납세의무를 지는 경우, 양수회사의 대주주도 그 세금에 대해 2차 납세의무를 진다. 단, 사업 양도·양수 이후에 양도회사에 새롭게 부과된 세금에 대해서는 양수회사나 그 대주주가 2차 납세의무를 지지 않는다.

#사업양수인#제2차 납세의무#과점주주#사업양도양수

세무판례

사업 양도 후 세금 문제, 누가 내야 할까요?

사업을 양도한 후에 양도인에게 부과된 세금은 양수인이 2차 납세의무를 지지 않는다. 양수인이 2차 납세의무를 지는 것은 사업 양도·양수 당시 *이미* 부과된 세금에 한한다.

#사업양도#양도인#양수인#세금

세무판례

사업 양수인의 체납 지방세, 얼마나 책임져야 할까?

경매와 별도 계약으로 사업을 양수한 경우, 양수인의 지방세 제2차 납세의무 계산은 양수한 재산 전체 가치를 기준으로 해야 하며, 단순히 경매가액과 계약상 양도대금을 합산하는 것이 아닙니다.

#사업양수#지방세#제2차 납세의무#재산가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