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2.04.10

일반행정판례

산에서 돌 캐려면 무조건 허가해줘야 할까?

산림 지역에서 돌을 캐내려면 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건 다들 아실 겁니다. 그런데, 법으로 정해진 제한 지역이 아닌 곳이라면 무조건 허가를 내줘야 하는 걸까요? 오늘은 이 문제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사건의 발단

한 석재회사가 구례군 산동면의 한 산에서 화강암 채취 허가를 신청했습니다. 하지만 구례군수는 허가를 내주지 않았고, 이에 석재회사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1심과 2심 법원은 석재회사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채석 예정지가 법으로 정해진 제한 지역은 아니었고, 구례군수가 주장하는 환경 피해 우려는 예방 조치를 통해 충분히 막을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대법원은 이 판결을 뒤집었습니다. 산림법 제90조의2, 같은 법 시행령 제91조의3, 같은 법 시행규칙 제95조 제2항 등 관련 법령을 종합적으로 해석해 볼 때, 제한 지역이 아니라고 해서 무조건 허가를 내줘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판시했습니다. 허가권자는 국토 및 자연의 보전 등 공익상 필요에 따라 허가를 거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대법원의 논리

대법원은 원심이 채석 공사로 인한 환경 피해 가능성을 충분히 검토하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예를 들어 채석 현장의 지형, 경사도, 계곡의 상태 등에 따라 공사로 발생하는 분진이 주변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고, 화강암 같은 대형 암석을 채취하면 원상복구가 어렵다는 점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단순히 예방 조치가 가능하다는 이유만으로 허가를 내줘야 한다고 판단한 것은 잘못이라는 것이죠.

결론

이 판례는 산림 내 토석 채취 허가에 있어서 허가권자의 재량권을 인정한 중요한 판례입니다. 제한 지역이 아니더라도 공익적인 필요에 따라 허가를 거부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한 것입니다. 산림 자 منابع를 보호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추구하는 데 중요한 기준을 제시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산림 내 토석 채취, 무조건 허가해야 할까?

산림에서 토석 채취 허가를 받으려면 법으로 정해진 제한 지역이 아닌 곳이라도 주변 환경과 주민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공익상 필요하다면 허가가 거부될 수 있다.

#토석 채취#허가 거부#공익#환경

일반행정판례

산에서 돌, 흙 캐려면 허가 꼭 받아야 할까? 무조건 내 땅이라고 되는 건 아니에요!

산림에서 토석 채취는 환경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법으로 정한 제한지역이 아니더라도 공익을 위해 허가를 거부할 수 있다.

#토석채취#허가#공익#산림

일반행정판례

산림 내 건축용 토석 채취, 무조건 안되는 걸까?

산림에서 건축용 돌과 흙을 채취하려면 산림법뿐만 아니라 국토계획법도 함께 고려해야 하며, 공익사업을 위한 채취 요청이 있을 경우에는 관련 법령에 따라 허가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산림#토석채취#불허처분#산림법

형사판례

광산에서 돌 캐려면 채석허가 받아야 할까? ⛰️

광업권을 가지고 있더라도 광물이 포함된 돌을 건축, 조각, 토목용으로 채굴할 때는 별도의 채석허가를 받아야 한다.

#광물채굴#채석허가#광업권#산림법

일반행정판례

산림 내 토석 채취, 허가는 언제 거부될 수 있을까?

산림에서 토석을 채취하려면 허가가 필요한데, 법으로 정해진 제한 지역이 아니더라도 자연환경 보호 등 공익적인 이유로 허가를 거부할 수 있다는 판례입니다. 이때 '중대한 공익상의 필요'가 있는지는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토석채취허가#공익#환경훼손#주민피해

일반행정판례

토석채취 허가, 산지관리위원회 심의는 언제 필요할까?

토석채취 허가를 받으려면 지방산지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하는데, 정읍시장이 심의 없이 불허가 처분을 내린 것은 위법하다.

#토석채취#불허가처분#위법#산지관리위원회 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