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상가 임대차와 관련하여 중요한 대법원 판결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이번 판결은 차임 연체로 인한 계약 갱신 거절과 보증금에서 연체 차임 공제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쟁점 1: 3기 차임 연체 후 완납 시 계약갱신 요구 거절 가능 여부
임차인이 임대차 기간 중에 3기의 차임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연체한 사실이 있다면, 계약갱신 요구 당시 연체액이 3기 미만으로 줄어들었더라도 임대인은 계약갱신을 거절할 수 있을까요? 대법원은 "그렇다"라고 판단했습니다.
대법원은 임차인이 과거 3기 차임을 연체한 사실이 있다면, 이는 임대인과 임차인 사이의 신뢰 관계를 깨뜨리는 행위로 보았습니다. 따라서 계약갱신 요구 당시 연체액이 줄었다 하더라도, 임대인은 계약갱신을 거절할 수 있고, 권리금 회수 기회 보호 의무도 부담하지 않는다고 판시했습니다. 이는 임차인의 차임 연체에 대한 책임을 명확히 하고, 임대인의 재산권을 보호하는 중요한 판결입니다.
쟁점 2: 보증금에서 연체 차임 공제 시 임대인의 주장·증명 책임
임대인이 임대차보증금에서 연체 차임 등을 공제하려면 어떤 절차를 거쳐야 할까요? 대법원은 임대인이 보증금에서 공제할 채권의 발생 원인에 대해 주장하고 증명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임대인은 단순히 연체 차임이 있다고 주장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구체적으로 어떤 차임이 얼마나 연체되었는지 증명해야 합니다. 다만, 해당 채권이 변제 등으로 소멸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입증 책임은 임차인에게 있습니다.
이번 판결은 상가 임대차 계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분쟁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 관련 법률과 판례를 숙지하여 자신의 권리를 보호하고 불필요한 분쟁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민사판례
상가 임대차에서 임차인이 차임을 2기분 연체하면, 임대인은 상가임대차보호법의 보호를 받는 임차인이라도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민사판례
* 상가 임대차 기간 중 언제든 월세가 3개월치 밀렸다면, 임대인은 임차인의 계약갱신 요구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 임대차 계약에 부가가치세를 임차인이 부담하기로 약정했다면, 계약 종료 후에도 건물을 계속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부당이득금에도 부가가치세를 내야 합니다.
민사판례
상가 임차인이 계약 갱신 전부터 차임을 연체하여 갱신 후 연체액이 2기분에 달하면, 임대인은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상가임대차보호법에도 불구하고 민법상 해지 규정이 적용된다.
상담사례
상가 임대차 계약에서 월세 1회 연체는 3기 연체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임차인은 계약 갱신 요구를 할 수 있고, 임대인은 정당한 사유 없이 거절할 수 없다.
상담사례
상가 임대차 계약서에 '2기 차임 연체 시 계약 해지' 특약이 있으면, 상가임대차보호법의 3기 연체 규정에도 불구하고 해당 특약이 유효하여 2기 연체시 쫓겨날 수 있으므로 계약서를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상담사례
상가 임대차 계약 갱신 후에도 이전 연체 기록이 포함되어 2기 연체가 되면 계약 해지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