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철이 되면 후보자들 간의 치열한 공방이 펼쳐집니다. 때로는 과열된 경쟁 속에서 허위사실을 유포하는 경우도 발생하는데요, 오늘은 선거에서 허위사실을 유포한 후보자의 '목적'에 대한 흥미로운 판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지방선거 시의원 후보로 출마한 A씨는 상대 후보 B씨에 대한 허위사실을 유포했습니다. B씨가 과거 다른 선거에서 선거운동 자금을 횡령했다는 내용이었죠. A씨는 결국 허위사실공표죄로 기소되었습니다.
쟁점
허위사실공표죄는 '상대 후보를 낙선시키기 위한 목적'이 있어야 성립합니다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 제250조 제2항). 그런데 판결문에 A씨가 B씨를 낙선시키기 위한 목적이었다는 내용은 없고, 오히려 A씨 '자신의 당선을 위한 목적'이었다고 기재되어 있었습니다. 이러한 판결문의 오류가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까요?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A씨의 상고를 기각했습니다. 즉, 판결문에 '낙선 목적'이 명시되지 않았더라도 판결 결과에는 영향이 없다는 것이죠.
대법원은 A씨가 궁극적으로 자신이 당선되기 위해 상대 후보 B씨에 대한 허위사실을 유포한 것이 분명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자신의 당선 목적'은 '상대 후보의 낙선 목적'을 포함하는 것이므로, 판결문의 표현이 다소 부정확하더라도 판결의 본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핵심 정리
후보자가 자신의 당선을 위해 상대 후보에 대한 허위사실을 유포했다면, 설령 판결문에 '낙선 목적'이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았더라도 허위사실공표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당선을 위한 행위는 필연적으로 상대의 낙선을 목표로 하기 때문입니다.
참고 조문: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 제250조 제2항
이 판례는 선거 과정에서 허위사실 유포 행위를 엄격하게 제한하고, 공정한 선거 문화를 확립하기 위한 대법원의 의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형사판례
선거에서 상대 후보를 낙선시키기 위해 허위사실이 적힌 전단지를 배포한 피고인에 대해 대법원은 일부 내용이 허위사실이라고 단정하기 어렵거나 의견표현에 해당한다며 원심을 파기하고 사건을 돌려보냈습니다. 허위사실공표죄 성립을 위해서는 공표된 사실이 허위라는 점에 대한 적극적인 증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형사판례
선거 투표가 끝나고 당선자가 확정된 후에, 당선자를 떨어뜨릴 목적으로 허위사실을 퍼뜨려도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죄로 처벌할 수 없다.
형사판례
선거에서 허위사실을 공표한 혐의로 기소된 피고인에 대한 상고심에서, 원심의 일부 유죄 판단을 확정하고 검사의 상고도 기각함. 즉, 일부 허위사실 공표는 유죄, 다른 일부는 무죄로 판단.
형사판례
17대 대선 당시 A 정당 소속 국회의원이었던 피고인이 B 정당 C 후보자에 대해 허위 사실을 공표하여 당선을 방해하려 했다는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법원은 피고인이 간접적, 우회적인 표현으로도 C 후보자의 평가를 훼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실을 공표했다고 판단했습니다.
형사판례
선거 후보자 비리 의혹을 담은 문자메시지를 불특정 다수에게 전송한 행위에 대해 허위사실 공표죄로 유죄를 선고한 원심판결을 확정. 의혹 제기는 상당한 이유가 있어야 하며, 허위사실 공표는 미필적 고의라도 처벌된다는 점을 재확인.
형사판례
구의원 예비후보가 같은 당 시의원 후보 예정자를 온라인 게시판에 여러 차례 비방하는 글을 올려 처벌받은 사례. 당선되지 못하게 할 목적과 사실 적시가 인정되었고, 공익을 위한 것이라는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