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위반

사건번호:

99도3736

선고일자:

2000022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 제250조 제2항 소정의 허위사실공표죄의 범죄사실을 기재함에 있어서 주관적 구성요건인 '낙선목적'을 명시하지 않고 오히려 '당선목적'을 기재한 경우,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 제250조 제2항 소정의 허위사실공표죄의 범죄사실을 설시함에 있어서 그 범죄의 주관적 구성요건인 행위의 목적, 즉 상대 후보자가 "당선되지 못하게 할 목적"에 관하여 이를 명시하지 아니하고 피고인 자신이 당선될 목적으로 위와 같은 행위를 한 것으로 설시한 경우, 공직선거의 후보자인 피고인이 궁극적으로는 자신이 당선되기 위하여 상대 후보자가 당선되지 못하게 할 목적으로 상대 후보자에 관하여 불리한 허위사실을 공표한 것임이 분명한 이상 위와 같은 설시상의 잘못으로 인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의율착오나 이유모순, 심리미진 등의 위법을 범한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참조조문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 제250조 제2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고인】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 【변호인】 변호사 황도연 【원심판결】 광주지법 1999. 7. 29. 선고 99노66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 및 원심이 인용한 제1심판결이 거시한 증거들을 기록과 대조하여 살펴보면,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시의회의원선거 후보로 출마한 피고인이 1998. 6. 2. 16:00경 같은 선거구에 소재한 경로당에서 선거인 공소외 3 외 14명이 모여있을 때 '같은 선거구에 후보로 출마한 공소외 1이 1991년도 지방자치제 도의원 후보로 나온 공소외 2의 선거운동을 하여 주겠다'라고 한 후 돈을 받아 선거운동에 사용하지 않고 착복한 사실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위 공소외 1을 가리켜 "공소외 2로부터 선거운동을 하겠다고 받은 돈을 선거운동에 사용하지 않고 자신이 착복했다."라고 말한 사실을 인정하고 이를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 제250조 제2항 소정의 허위사실공표죄로 처단한 원심의 조처는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반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원심은 위 허위사실공표죄의 범죄사실을 설시함에 있어서 그 범죄의 주관적 구성요건인 행위의 목적, 즉 상대 후보자인 정덕기이 "당선되지 못하게 할 목적"에 관하여 이를 명시하지 아니하고 피고인 자신이 당선될 목적으로 위와 같은 행위를 한 것으로 설시하고 있음은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으나, 위 공직선거의 후보자인 피고인이 궁극적으로는 자신이 당선되기 위하여 상대 후보자인 정덕기이 당선되지 못하게 할 목적으로 위 정덕기에 관하여 불리한 허위사실을 공표한 것임이 원심 거시의 증거들에 의하여 분명한 이상 위와 같은 설시상의 잘못으로 인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의율착오나 이유모순, 심리미진 등의 위법을 범한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 결국 상고이유의 주장은 모두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서성(재판장) 지창권(주심) 신성택 유지담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선거철, '진실'만 말해야 하는 이유: 허위사실공표죄, 어디까지 처벌될까?

선거에서 상대 후보를 낙선시키기 위해 허위사실이 적힌 전단지를 배포한 피고인에 대해 대법원은 일부 내용이 허위사실이라고 단정하기 어렵거나 의견표현에 해당한다며 원심을 파기하고 사건을 돌려보냈습니다. 허위사실공표죄 성립을 위해서는 공표된 사실이 허위라는 점에 대한 적극적인 증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선거전단#허위사실공표#무죄취지#의견표현

형사판례

선거 끝난 후 허위사실 유포, 처벌될까?

선거 투표가 끝나고 당선자가 확정된 후에, 당선자를 떨어뜨릴 목적으로 허위사실을 퍼뜨려도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죄로 처벌할 수 없다.

#선거#당선자#허위사실공표#공직선거법 위반(X)

형사판례

선거철, '허위사실 공표' 어디까지 처벌될까?

선거에서 허위사실을 공표한 혐의로 기소된 피고인에 대한 상고심에서, 원심의 일부 유죄 판단을 확정하고 검사의 상고도 기각함. 즉, 일부 허위사실 공표는 유죄, 다른 일부는 무죄로 판단.

#선거법#허위사실공표#상고기각#유죄

형사판례

국회의원의 대선 후보자 관련 허위사실 공표, 유죄 확정!

17대 대선 당시 A 정당 소속 국회의원이었던 피고인이 B 정당 C 후보자에 대해 허위 사실을 공표하여 당선을 방해하려 했다는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법원은 피고인이 간접적, 우회적인 표현으로도 C 후보자의 평가를 훼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실을 공표했다고 판단했습니다.

#허위사실공표#공직선거법#대통령선거#국회의원

형사판례

선거철, 후보자 비방, 어디까지 허용될까?

선거 후보자 비리 의혹을 담은 문자메시지를 불특정 다수에게 전송한 행위에 대해 허위사실 공표죄로 유죄를 선고한 원심판결을 확정. 의혹 제기는 상당한 이유가 있어야 하며, 허위사실 공표는 미필적 고의라도 처벌된다는 점을 재확인.

#선거#허위사실공표죄#유죄#의혹제기

형사판례

선거 비방, 어디까지 허용될까? 후보자 비방죄에 대한 법원의 판단

구의원 예비후보가 같은 당 시의원 후보 예정자를 온라인 게시판에 여러 차례 비방하는 글을 올려 처벌받은 사례. 당선되지 못하게 할 목적과 사실 적시가 인정되었고, 공익을 위한 것이라는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선거비방#공익#처벌#후보자비방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