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2.03.04

민사판례

상속재산 나눠 받을 때, 소장에 잘못 쓴 내용대로 판결 나면 어떻게 될까?

상속 소송에서 변호사가 소장에 상속 지분을 잘못 기재했는데, 법원도 이를 모르고 그대로 판결을 내렸다면 어떻게 될까요? 이런 경우, 단순히 실수였다고 해서 판결을 바꿀 수 있을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대법원 판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이 사건의 원고들은 상속 소송을 진행하면서 변호사를 통해 소장을 제출했습니다. 그런데 변호사가 소장에 원고들이 받아야 할 상속 지분을 잘못 기재했고, 법원도 이를 알아차리지 못하고 소장에 기재된 대로 판결을 내렸습니다. 이후 원고들은 판결에 오류가 있다며 경정 신청을 했지만, 법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원고들의 특별항고를 기각하며 원심의 판단을 지지했습니다. 즉, 변호사의 실수로 소장에 상속 지분이 잘못 기재되었더라도, 소송 과정에서 그 오류가 명백하게 드러나지 않았다면 판결을 바꿀 수 없다는 것입니다.

대법원은 민사소송법 제197조 제1항을 근거로, 판결에 오류가 있을 경우, 법원의 실수뿐 아니라 당사자의 실수로 생긴 오류라도 명백하다면 판결을 경정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이 사건에서는 소송 과정에서 제출된 자료만으로는 오류가 명백하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원고 측 변호사가 소장에 청구취지(상속지분)를 잘못 기재했고, 변론이 끝날 때까지 이를 바로잡지 않았으며, 법원도 이를 알아차리지 못했습니다. 더욱이, 소송 자료를 살펴봐도 그 오류가 명백하게 드러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핵심 정리

  • 판결에 오류가 있더라도 그것이 명백해야 경정할 수 있습니다.
  • 당사자의 실수로 생긴 오류라도 명백하면 경정이 가능하지만, 이 사건처럼 소송 자료만으로 오류가 명백하지 않다면 경정할 수 없습니다.

참고 법조항 및 판례

  • 민사소송법 제197조 제1항: 판결에 잘못된 계산이나 기재 기타 이와 유사한 명백한 오류가 있을 때에는 법원은 직권으로 또는 당사자의 신청에 따라 결정으로 경정하여야 한다.
  • 대법원 1984.12.26. 자 84그66 결정: 이 사건의 주요 판단 근거가 된 판례입니다.

이처럼 소송에서는 작은 실수가 큰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송 진행 시에는 관련 서류를 꼼꼼히 확인하고, 변호사와 충분히 상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소장에 땅 지번만 쓰고 대지권 빼먹었는데, 판결 고칠 수 있을까?

소장에 부동산의 일부 정보(대지권)를 빠뜨려 기재했고, 판결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오류가 발생했을 경우, 이를 법원이 경정(고쳐서 바로잡음)할 수 있는지 여부. 결론은 '가능하다'입니다.

#소장착오#판결경정#대지권누락#민사소송법 제197조

민사판례

이름 오타와 상속 오류, 판결 정정해줘!

상속 소송에서 판결문에 이름과 상속인 등 오류가 있는데도 법원이 정정 신청을 기각한 것은 헌법상 재판받을 권리 침해로 위헌이라는 판결.

#판결문 오류#정정 기각#위헌#재판받을 권리

민사판례

소장 주소와 판결 주소가 다를 때, 판결 경정 신청 가능할까요?

소장에 피고의 주민등록상 주소를 기재했는데, 판결에는 다른 주소가 기재되었다면 판결을 고쳐야 합니다.

#판결경정#주소불일치#소장#판결문

형사판례

공소장 변경과 판결서 기재 오류, 피고인에게 불리할까?

변호인이 있는 경우, 검사는 공소장 변경 사실을 피고인에게 직접 알리지 않아도 되고, 판결서에 변경 전 죄명이 남아있더라도 이는 상고할 수 있는 사유가 아닙니다.

#공소장변경#피고인고지의무#판결서오류#상고사유

세무판례

상속세 고지서, 제대로 쓰지 않으면 무효!

상속세 고지서에는 세금 계산 근거가 명확히 적혀있어야 하고, 공동상속인 각자에게 부과될 세금도 정확하게 명시되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고지 자체가 무효입니다.

#상속세#납세고지서#계산명세#무효

세무판례

상속세 납부, 제대로 알고 대비하자!

이 판례는 상속세 부과처분의 효력 범위, 절차적 하자의 영향, 과세제척기간의 적용, 상속재산 평가 방법 등에 관한 다양한 법적 쟁점을 다루고 있습니다.

#상속세#부과처분#효력#절차적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