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결경정

사건번호:

92그1

선고일자:

19920304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가. 당사자의 과실에 의한 오류와 판결경정의 가부(적극) 나. 소장에 잘못 기재된 청구취지(상속지분)대로 판결이 선고되고, 소송자료에 의하여도 그 오류가 명백하지 아니한 경우 판결에 명백한 오류가 있다고 볼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가. 민사소송법 제197조 제1항에 규정된 오류는 그것이 법원의 과실로 인하여 생긴 경우는 물론이고 당사자의 과실에 의하여 생긴 경우에도 그 오류가 명백하면 판결을 경정할 수 있다. 나. 원고들 소송대리인이 소장에 청구취지(상속지분)를 잘못 기재하고서도 사실심 변론종결시까지 그 변경절차를 밟지 아니하였고 법원도 이를 간과하여 소장 기재대로 판결을 하였으며, 소송의 전과정에 나타난 자료에 의하더라도 그 오류가 명백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이른바 판결에 명백한 오류가 있다고 볼 수 없다.

참조조문

가.나. 민사소송법 제197조 제1항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87.1.28. 자 86그160 결정(공1987,619), 1988.9.5. 자 88그51 결정(공1988,1258), 1990.1.12. 자 89그48 결정(공1990,938) / 나. 대법원 1984.12.26. 자 84그66 결정(공1985,349)

판례내용

【특별항고인】 【원심결정】 부산지방법원 1991.12.16. 자 91카36309 결정 【주 문】 특별항고를 기각한다. 【이 유】 특별항고이유를 본다. 민사소송법 제197조 제1항에 규정된 오류는 그것이 법원의 과실로 인하여 생긴 경우는 물론이고 당사자의 과실에 의하여 생긴 경우에도 그 오류가 명백하면 판결을 경정할 수 있다고 할 것이나, 이 사건에 있어서와 같이 원고들 소송대리인이 소장에 청구취지(상속지분)를 잘못 기재하고서도 사실심변론종결시까지 그 변경절차를 밟지 아니하였고 법원도 이를 간과하여 소장 기재대로 판결을 하였고, 소송의 전과정에 나타난 자료에 의하더라도 그 오류가 명백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이른바 판결에 명백한 오류가 있다고 볼 수 없다(당원 1984.12.26. 자 84그66 결정 참조). 결국 같은 취지에서 원심이 이 사건 경정신청을 기각한 조치는 수긍이 가고, 달리 원심결정에 민사소송법 제420조 소정의 위법사유가 있다고 할 수 없으므로 논지는 이유 없다. 이에 특별항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박만호(재판장) 박우동 김상원 윤영철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소장에 땅 지번만 쓰고 대지권 빼먹었는데, 판결 고칠 수 있을까?

소장에 부동산의 일부 정보(대지권)를 빠뜨려 기재했고, 판결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오류가 발생했을 경우, 이를 법원이 경정(고쳐서 바로잡음)할 수 있는지 여부. 결론은 '가능하다'입니다.

#소장착오#판결경정#대지권누락#민사소송법 제197조

민사판례

이름 오타와 상속 오류, 판결 정정해줘!

상속 소송에서 판결문에 이름과 상속인 등 오류가 있는데도 법원이 정정 신청을 기각한 것은 헌법상 재판받을 권리 침해로 위헌이라는 판결.

#판결문 오류#정정 기각#위헌#재판받을 권리

민사판례

소장 주소와 판결 주소가 다를 때, 판결 경정 신청 가능할까요?

소장에 피고의 주민등록상 주소를 기재했는데, 판결에는 다른 주소가 기재되었다면 판결을 고쳐야 합니다.

#판결경정#주소불일치#소장#판결문

형사판례

공소장 변경과 판결서 기재 오류, 피고인에게 불리할까?

변호인이 있는 경우, 검사는 공소장 변경 사실을 피고인에게 직접 알리지 않아도 되고, 판결서에 변경 전 죄명이 남아있더라도 이는 상고할 수 있는 사유가 아닙니다.

#공소장변경#피고인고지의무#판결서오류#상고사유

세무판례

상속세 고지서, 제대로 쓰지 않으면 무효!

상속세 고지서에는 세금 계산 근거가 명확히 적혀있어야 하고, 공동상속인 각자에게 부과될 세금도 정확하게 명시되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고지 자체가 무효입니다.

#상속세#납세고지서#계산명세#무효

세무판례

상속세 납부, 제대로 알고 대비하자!

이 판례는 상속세 부과처분의 효력 범위, 절차적 하자의 영향, 과세제척기간의 적용, 상속재산 평가 방법 등에 관한 다양한 법적 쟁점을 다루고 있습니다.

#상속세#부과처분#효력#절차적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