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1.11.12

특허판례

상호의 약칭 사용, 상표권 침해일까? - 태극당 예식장 사례

오늘은 상호의 약칭 사용과 관련된 흥미로운 판례를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바로 '태극당'이라는 유명 제과점이 예식장 사업을 시작하면서 발생한 상표권 분쟁입니다.

사건의 개요

이미 '태극당'이라는 상표로 제과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기업이 예식장 사업을 시작하면서 '태극당예식부'라는 약칭을 사용했습니다. 정식 상호는 "태극당"이었지만, 실제 영업 활동에서는 '태극당예식부'라는 간략한 이름을 사용한 것이죠. 이에 대해 다른 업체에서 상표권 침해를 주장하며 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태극당예식부'라는 약칭이 상표권 침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결했습니다.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째, 당시 상표법(1990.1.13. 법률 제421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6조 제1호는 "자기의 성명, 명칭, 또는 상호를 보통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표시하는 상표"를 보호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었습니다. 법원은 이 조항에서 말하는 "보통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란 상호를 약칭이 아닌 원래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해석했습니다. 즉, 정식 상호가 "태극당"인 경우 "태극당예식부"와 같은 약칭은 보호 대상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둘째, 상호의 약칭이라도 널리 알려진 경우, 즉 '저명한 약칭'에 해당한다면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법원은 '태극당예식부'가 저명한 약칭으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태극당'이라는 상표가 제과업계에서는 어느 정도 알려진 주지상표이지만, 다른 업종까지 영향을 미칠 정도로 저명하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것이죠. 제과업에서 '태극당'의 신용을 이용하기 위해 예식장 사업에서 '태극당예식부'라는 약칭을 사용했더라도, 이것만으로는 저명한 약칭이 성립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법원은 신문 광고 등을 증거로 제시했지만, 광고 기간과 비용 등을 고려했을 때 '태극당예식부'가 널리 인식되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시했습니다.

핵심 포인트

  • 상호를 약칭으로 사용하는 경우, 원칙적으로 상표법상 보호를 받기 어렵습니다.
  • 약칭이라도 널리 알려진 '저명한 약칭'은 보호받을 수 있지만, 저명성을 인정받기 위한 까다로운 요건이 존재합니다.
  • 다른 업종에서 유명한 상표를 이용하더라도, 새로운 사업 분야에서의 약칭이 자동으로 저명성을 획득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 판례는 상호의 약칭 사용과 관련된 상표권 분쟁에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자신의 상호를 약칭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표권 보호 범위를 정확히 이해하고 분쟁 발생 가능성을 미리 검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상표권 침해, 보통명칭, 상호 사용과 관련된 쟁점 정리

상표 등록이 취소되더라도 취소 전에 발생한 침해행위는 처벌 대상이 된다. 상표가 상품의 보통명칭처럼 쓰이는 경우, 상표권 효력이 제한될 수 있다. 회사 상호의 약칭을 사용했더라도 상표권을 침해할 수 있다.

#상표권 침해#등록취소#보통명칭화#상호 약칭

형사판례

현풍할매집 상호 사용, 상표권 침해일까?

이미 등록된 상표/서비스표와 유사한 상호를 사용할 경우, 상표권/서비스표권 침해로 인정될 수 있다. 특히 상표/서비스표의 인지도가 높고, 상호 사용에 부정경쟁의 목적이 있다면 더욱 그렇다.

#상호#상표권#서비스표권#침해

특허판례

내 상호, 함부로 쓰면 안 되나요? 상표법과 부정경쟁

자신의 상호를 평범하게 사용하는 것은 상표권 침해가 아니다. 다만, 다른 사람의 유명한 상표를 이용해서 부당한 이익을 얻으려는 의도가 있다면 침해가 될 수 있다.

#상호#보통 사용#서비스표#상표권 침해

특허판례

황금당, 상표권 침해일까?

"황금당"이라는 상표는 금 제품에서는 품질표시로 볼 수 있지만, 다른 귀금속이나 보석에서는 상표로서 기능하며, 기존에 등록된 유사 상표권을 침해할 수 있다.

#황금당#상표권#침해#금제품

특허판례

내 상호, 남의 상표와 비슷하면 어쩌죠? 부정경쟁 목적의 의미

자신의 상호를 사용하는 것이 상표권 침해에 해당하는지, 특히 '부정경쟁의 목적'이 있었는지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한 판례입니다. 단순히 등록된 상표라는 것을 알고 사용했다는 사실만으로는 부족하고, 여러 주관적, 객관적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상표권 침해#부정경쟁 목적#상호#상표 유사성

형사판례

회사 이름 약칭 쓰면 상표권 침해일까?

회사 이름에서 회사 종류(예: 주식회사)를 뺀 약칭을 써서 사업을 하는 경우, 기존에 등록된 상표권이나 서비스표권을 침해하는지 여부. (약칭이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면 침해할 수 있음)

#회사 약칭#상표권 침해#서비스표권 침해#약칭 인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