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4.10.07

형사판례

선거운동, 누가 할 수 있고 어떻게 해야 할까? - 위헌 결정으로 뒤집힌 선거법 위반 사례

1992년 대선 당시 선거운동을 했다가 법정에 선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당시 대통령 선거법 위반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지만, 대법원은 원심을 파기하고 사건을 돌려보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쟁점 1: 아무나 선거운동을 할 수 있을까?

피고인들은 선거운동원도 아닌데 유인물을 배포하며 선거운동을 했습니다. 당시 대통령선거법(1994년 폐지) 제36조 1항은 선거운동원 등이 아닌 사람의 선거운동을 금지했고, 이를 어기면 제162조 1항 1호에 따라 처벌받도록 했습니다.

하지만 헌법재판소는 1994년 7월 29일 (93헌가4,6 결정) 일부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누구든 선거운동을 할 수 없도록 한 이 법 조항이 위헌이라고 결정했습니다. 즉, 특정 직업군 등 제한된 사람들만 선거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법 조항이 헌법에 어긋난다는 것이죠. 피고인들은 선거운동이 금지된 사람들에도 해당하지 않았기에, 위헌인 법 조항으로 처벌할 수는 없었습니다. (참조조문: 구 대통령선거법 제36조 1항, 제162조 1항 1호, 참조판례: 헌재 1994.7.29. 93헌가4,6)

쟁점 2: 선거운동, 어떤 방식으로 해야 할까?

또 다른 피고인은 민자당과 후보를 비방하고 정권교체를 주장하는 내용의 회지를 만들어 배포했습니다. 원심은 이 행위가 구 대통령선거법 제163조 1항 1호 위반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이 조항은 허용된 범위를 넘어 선거 관련 인쇄물을 만들거나 사용하면 처벌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법원은 이 조항은 선거운동을 할 수 있는 사람이 허용된 범위를 넘어섰을 때 적용되는 것이라고 해석했습니다. 만약 선거운동원 자격이 없는 사람이 허용되지 않은 방식으로 선거운동을 했다면, 제163조 1항 2호 (구 대통령선거법 제73조 위반)를 적용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조항은 선거운동 기간 중 법에 정해진 방법 이외의 방식으로 선거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피고인은 선거운동원 등의 신분이 아니었으므로, 제163조 1항 1호가 아닌 2호를 적용해야 했습니다. (참조조문: 구 대통령선거법 제163조 1항 1호, 2호, 제37조 2항, 제73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3.10.26. 선고 93도2445 판결)

결국 대법원은 원심이 잘못된 법 조항을 적용했다고 판단하여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서울고등법원으로 돌려보냈습니다. 이 사건은 선거운동의 자유와 그 한계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하는 중요한 판례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선거기간 중 불법 선거운동, 헌법에 어긋나지 않아

선거운동 기간 중 법에 정해진 방법 이외의 선거 관련 인쇄물 제작, 배포는 선거의 공정성을 해칠 수 있으므로 금지되며, 이는 헌법에 어긋나지 않는다.

#대통령선거법위반#불법선거운동#인쇄물배포#선거공정성

형사판례

공공단체 위탁선거에서의 선거운동, 누가 할 수 있을까?

이 판례는 공공단체 위탁선거에서 선거운동으로 볼 수 있는 행위의 범위를 넓게 해석하고, 후보자가 아닌 사람의 선거운동을 엄격하게 금지하는 구 위탁선거법의 해석 기준을 제시한 판례입니다. 쉽게 말해, 후보자를 위해 누군가가 당선에 유리한 행위를 했다면, 그것이 후보자의 단순 심부름 수준이 아니라면 선거운동으로 간주될 가능성이 높아졌고, 특히 후보자가 아닌 사람이 그런 행위를 했다면 불법으로 처벌받을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공공단체 위탁선거#선거운동 범위 확대#후보자 아닌 자 선거운동 금지#신문 기고 및 발송

형사판례

선거운동, 어디까지 허용될까요?

선거법 위반으로 기소된 피고인들의 상고가 기각되어 원심(대전고등법원)의 유죄 판결이 확정되었습니다. 법원은 단합대회와 자택 모임에서의 행위가 선거에 영향을 미치려는 의도가 명확히 드러나는 사전선거운동에 해당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사전선거운동#유죄 확정#단합대회#자택 모임

형사판례

선거법 위반, 어디까지가 문제일까요?

이 판례는 선거운동 기간 전 행위가 사전선거운동에 해당하는지, 기부행위가 위법한지, 선거인 매수죄의 대상이 누구인지 등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사전선거운동#기부행위#선거인 매수#선거인

형사판례

선거와 관련된 법 위반, 어디까지 처벌될까?

선거 기간 중 명함 배포, 상대 후보에 대한 허위 사실 공표 등의 행위가 선거법 위반에 해당하는지 여부

#선거법 위반#명함 배포#허위사실 공표#상고 기각

형사판례

선거운동과 선거에 영향을 미칠 목적, 그 기준은 무엇일까요?

이 판례는 선거운동과 선거에 영향을 미칠 목적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기준으로 판단하는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단순한 선거 준비행위나 정당활동과 실제 선거운동을 구분하는 기준을 제시하고, 선거에 영향을 미칠 목적이 있었는지 판단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명시했습니다.

#선거운동#선거영향#목적#판단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