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철이 다가오면 후보자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유권자에게 접근합니다. 그중 하나가 무료 법률상담입니다. 변호사 출신 후보자가 선거구민을 위해 무료 법률상담을 해주는 것은 과연 괜찮은 걸까요? 대법원은 이에 대해 선거법 위반이 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사건의 개요
한 국회의원 후보자(피고인 1)는 자신의 변호사 사무실과는 별개로 연구소를 설립하고, 이곳에서 선거구민들에게 무료 법률상담을 제공했습니다. 또한, 연구소 직원들에게 선거운동을 도와주면 당선 후 비서나 보좌관 자리에 앉혀주겠다는 취지의 말을 했습니다. 이에 검찰은 기부행위 및 사전선거운동 금지 위반으로 기소했습니다.
쟁점
대법원의 판단
비서/보좌관 자리 제안: 대법원은 후보자가 선거운동 관계자들에게 당선 후 일자리를 제공하겠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사실은 인정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같이 일해 보자"는 정도의 격려성 발언은 사회통념상 쉽게 철회할 수 있는 인사치레에 불과하다고 판단하여 무죄로 판결했습니다. 즉, 진정한 제공 의사가 객관적으로 명확하게 드러나야 한다는 것입니다.
무료 법률상담: 대법원은 무료 법률상담 제공 행위가 선거구민 전체를 대상으로 한 기부행위이자 사전선거운동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여 유죄를 선고했습니다. 변호사 사무실과 별개의 연구소에서 이루어졌더라도, 선거구민에게 무료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한 것은 선거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행위로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핵심 정리
참고 조문
선거는 공정하게 치러져야 합니다. 후보자는 물론 유권자도 선거법을 잘 숙지하고 준수해야 민주주의의 근간을 지킬 수 있습니다.
형사판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려는 변호사가 선거구민에게 무료 변론이나 법률 상담 등을 제공하는 것은 선거법상 기부행위 위반에 해당한다.
형사판례
이 판례는 선거운동 기간 전 행위가 사전선거운동에 해당하는지, 기부행위가 위법한지, 선거인 매수죄의 대상이 누구인지 등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형사판례
선거운동 기간 전에 이루어진 선거 컨설팅, 선거사무소 개소식 준비 등은 선거운동 준비행위로, 선거비용으로 볼 수 없다.
형사판례
예비후보자가 무료로 공약집을 배포하는 것은 선거법상 기부행위에 해당하여 불법입니다. 공약집도 유권자에게 경제적 이익을 제공하고, 후보자의 자금력이 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형사판례
선거 전 시장 후보자의 선거사무원들에게 식사를 제공하고 당선을 위해 열심히 하라고 격려한 행위는 사전선거운동 및 기부행위로 인정되어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형사판례
선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정당이나 후보자의 좋은 행적을 알리는 것은 선거법 위반이다. 좋은 의도였다고 해도 예외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