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9.07.25

형사판례

소방시설공사, 무등록 하도급도 불법입니다!

소방시설공사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중요한 작업이죠. 그래서 관련 법률에서는 소방시설공사업의 등록을 의무화하고, 무등록 업체의 공사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대법원 판결에서는 이러한 등록 의무의 범위를 명확하게 제시했습니다. 이 판결을 통해 소방시설공사 하도급에 대한 법률적 해석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소방시설공사, 직접 시공만 해당될까요? 아니요!

이번 판결의 핵심은 소방시설공사업 등록 의무가 단순히 직접 시공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도급을 통해 시공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는 점입니다. 즉, 등록 없이 소방시설공사를 하도급 받아 시공하는 것도 불법이라는 것이죠.

왜 하도급도 등록해야 할까요?

소방시설공사업법의 목적은 소방시설공사의 적정한 관리와 소방시설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고, 무등록 업자에 의한 부실 시공을 예방하여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데 있습니다. 하도급을 통해 무자격 업체가 공사를 진행할 경우 부실시공의 위험이 커지고, 이는 곧바로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법에서 뭐라고 하고 있나요?

  • 구 소방시설공사업법 제4조 제1항: 소방시설공사를 하려면 등록해야 한다고 규정합니다. 이번 판결에서는 이 '소방시설공사'에 직접 시공뿐 아니라 하도급 시공도 포함된다고 해석했습니다.
  • 구 소방시설공사업법 제35조: 등록 없이 소방시설공사업을 하는 경우 처벌한다고 규정합니다.
  • 구 소방시설공사업법 제21조 및 제22조 제1항: 발주자는 등록된 소방시설공사업자에게만 공사를 도급해야 하고, 원칙적으로 하도급은 금지된다는 내용입니다. 예외적으로 허용되는 하도급의 경우에도 등록된 업체여야만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 구 소방시설공사업법 제36조 제6호: 하도급 제한 규정을 위반한 경우 처벌한다는 내용입니다. 이 조항의 처벌 대상은 이미 등록된 소방시설업자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 하도급을 주는 업체와 받는 업체 모두 등록이 되어 있어야 함을 알 수 있습니다.

이번 판결의 의미는?

이번 판결은 소방시설공사의 하도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 문제를 예방하고, 국민 안전을 강화하는 데 큰 의미를 갖습니다. 소방시설공사 관계자들은 이번 판결을 통해 법률적 의무를 다시 한번 확인하고, 안전한 소방시설 시공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참고 법률 및 판례:

  • 구 소방시설공사업법(2014. 12. 30. 법률 제1293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조, 제2조 제1항 제1호, 제2호, 제4조 제1항, 제21조, 제22조 제1항, 제35조, 제36조 제6호
  • 대법원 2008. 4. 24. 선고 2007도9972 판결
  • 대법원 2017. 7. 11. 선고 2017도1539 판결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건설업, 직접 시공만 해당될까요? 하도급도 건설업입니다!

건설업 면허 없이 하도급을 받아 다른 업체에 다시 하도급을 준 경우에도 건설업을 한 것으로 보아 처벌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

#하도급#무등록 건설업#처벌#건설산업기본법

형사판례

불법 하도급 처벌, 모든 건설업자에게 적용될까?

법에 따라 등록된 건설업자가 아닌 사람에게 공사를 하도급 줬다고 해서 무조건 불법은 아닙니다. 하도급 제한 규정은 등록된 건설업자끼리의 거래에만 적용됩니다.

#건설업#하도급#불법#건설업자 등록

형사판례

건설공사 하도급, 계약서 쓰는 순간 불법?!

건설공사를 불법으로 통째로 하도급 주는 계약을 맺었다면, 실제 공사를 시작하지 않았더라도 처벌받는다.

#불법하도급#계약#처벌#건설산업기본법

세무판례

건설회사 하도급과 사업소세, 종업원 논란에 대한 법원 판결

건설회사가 하도급받은 공사를 다시 시공참여자에게 맡기고, 시공참여자가 근로자를 고용한 경우, 그 근로자는 건설회사의 종업원으로 볼 수 없다는 판결. 따라서 건설회사에 해당 근로자들에 대한 종업원할 사업소세를 부과한 것은 위법하다.

#건설회사#하도급#시공참여자#근로자

일반행정판례

국가계약 하도급, 승인 없이 진행하면 안되는 이유

국가기관 발주 공사에서 계약서에 명시된 발주처(한국전력공사)의 승인 없이 하도급을 진행한 경우, 법률 위반으로 부정당업자 제재 대상이 된다는 판결. 계약서에 명시되어 있으면 법적 효력을 가진다는 점을 강조.

#하도급#발주처 승인#부정당업자 제재#국가계약법

민사판례

하도급 대금 직접 지급, 선급금과 상계될까?

공사 도중 계약이 해지되면 원칙적으로 미지급 공사대금은 선급금으로 충당되지만, 하도급 업체에 대한 대금 직접 지급 조항이 있는 경우, 발주자는 선급금을 이유로 하도급 대금 지급을 거부할 수 없다.

#하도급대금 직접지급#선급금 상계#원사업자 부도#발주자 지급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