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사례

소송 취하했는데, 소송비용은 어떻게 될까요? 🤔

소송 도중에 취하하게 되면 소송비용은 어떻게 계산될까요? 생각보다 복잡한 문제인데요, 오늘은 이 부분을 쉽게 풀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사례를 하나 들어볼게요.

철수(甲)가 영희(乙)를 상대로 소송을 걸었는데, 소송 중간에 철수가 소를 취하했습니다. 법원은 소송이 취하로 종료되었고, 취하일 이후의 소송비용은 철수가 부담하라고 판결했어요. 이 판결은 확정되었습니다. 그런데 영희가 철수에게 소송비용을 청구했는데, "소 취하일 이후의 소송비용"은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핵심은 "새로 발생한 비용"입니다!

대법원은 '소 취하일 이후의 소송비용'은 소 취하일 이후에 새롭게 발생한 소송 절차 비용이라고 판단했습니다 (대법원 2005. 5. 20. 자 2004마1038 결정).

쉽게 말해, 소송 전체 기간 동안 발생한 비용을 비율적으로 계산하는 것이 아닙니다. 소 취하 이전에 발생한 비용을 일할 계산해서 청구하는 것은 잘못되었다는 뜻이죠.

변호사 비용은 어떨까요?

변호사 비용도 마찬가지입니다. 소송 시작부터 끝까지의 변호사 비용을 소 취하일 이후 기간의 비율로 계산해서 청구하는 것은 안됩니다. 예를 들어, 소송위임장 제출일부터 판결 확정일까지의 변호사 비용 중 소 취하일부터 판결 송달일까지의 기간에 해당하는 비율만큼 청구하는 것은 위법입니다 (대법원 2005. 5. 20. 자 2004마1038 결정 참조).

정리하자면, 소 취하 이후의 소송비용은 소 취하 이후 새롭게 발생한 비용만 청구할 수 있습니다. 소 취하 이전에 발생한 비용을 비율 계산해서 청구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이처럼 소송비용 계산은 생각보다 복잡할 수 있습니다. 소송 관련 문제는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고 안전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소 취하 후 소송비용은 누가 부담할까?

소송을 취하하면 일반적으로 취하한 사람이 소송비용을 부담해야 합니다. 소송비용 부담을 결정할 때는 소송 과정에서 있었던 일만 고려하고, 소송 외적인 사정은 고려하지 않습니다.

#소취하#소송비용#부담#원칙

민사판례

소송 도중 취하하거나 청구금액을 줄이면 소송비용은 어떻게 될까?

소송 중 일부만 취하하거나 청구 금액을 줄이면, 취하/감축된 부분과 남은 부분의 소송비용을 별도로 계산해야 합니다.

#소송비용#일부취하#청구감축#별도계산

상담사례

항소 취하? 소송비용 돌려받을 수 있을까요?

항소 취하 후 소송비용을 받으려면 항소심 법원에 소송비용부담재판을 신청해야 하며, 변호사의 실제 소송 기여가 중요하다.

#항소취하#소송비용#소송비용부담재판#항소심법원

민사판례

소송비용, 제대로 청구하려면? (항소 취하와 변호사 보수)

소송이 판결 없이 취하 등으로 종료된 경우 소송비용 반환은 어떻게 청구해야 할까요? 그리고 변론에 참여하지 않은 변호사 비용도 소송비용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까요? 이 판례는 이 두 가지 질문에 답합니다.

#소송비용#항소취하#소송비용확정#변론미참여

민사판례

소취하 이후 소송비용, 어디까지 부담해야 할까?

소송을 취하한 후 발생하는 소송비용은 취하 시점 이후에 새로 발생한 비용만 해당하며, 취하 전에 발생한 비용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또한, 상대방이 부담할 소송비용이 없다면 소송비용확정절차에서 발생하는 비용은 신청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소취하#소송비용#소송비용확정절차#비용부담

민사판례

소송 취하/감축과 변호사 비용 계산, 꼭 알아야 할 포인트!

소송 중 청구 금액을 줄이면 줄어든 부분에 대한 소송비용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변호사 비용은 상대방이 변호사를 선임하기 *전*에 청구 금액을 줄인 경우 줄어든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소송비용#청구금액 감축#변호사 비용#소송목적의 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