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석을 가공하는 장치 디자인을 둘러싼 분쟁에서, 새로운 디자인이 기존 등록된 디자인의 권리범위를 침해하지 않는다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습니다. 이번 판결은 유사한 디자인이라도 기술적인 차이와 효과 개선이 있다면 권리침해로 보기 어렵다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사건의 개요
두 종류의 수석 가공 장치가 분쟁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하나는 이미 등록된 고안(디자인)이고, 다른 하나는 새롭게 개발된 고안입니다. 새로운 고안을 개발한 측에서는 기존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지 않는다고 주장했고, 기존 고안권자는 권리침해라고 주장했습니다.
쟁점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새로운 고안이 기존 고안과 기술적인 구성이 다르고 작용효과를 향상시킨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기존 고안은 철판을 끼워넣는 방식으로 연마통을 만들었지만, 새로운 고안은 연마통을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내부에 장돌조를 부착하여 연마 효과를 높였습니다. 이러한 차이점 때문에 새로운 고안은 기존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지 않는다고 판결했습니다.
또한, 이전 심판에서 다른 당사자와 다른 증거 해석을 했다는 이유만으로 일사부재리 원칙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라고 판시했습니다. 즉, 당사자나 증거 해석이 달라도 동일한 사실관계에 대해서는 일사부재리 원칙이 적용된다는 것입니다.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결론
이번 판결은 고안의 권리범위 판단에 있어서 기술적 구성과 작용효과의 차이를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었습니다. 단순히 외형적인 유사성만으로 권리침해를 판단해서는 안 되며, 기술적인 차별성과 효과 개선 여부를 면밀히 검토해야 할 것입니다.
특허판례
새로운 고안이 기존 등록된 고안과 기술적 구성이 일부 다르더라도, 그 차이가 단순한 설계변경 수준이고 새로운 효과를 가져오지 않는다면 기존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형사판례
이미 알려진 기술을 약간 변형한 정도의 실용신안은 새로운 발명으로 인정받을 수 없고, 따라서 이를 모방했다고 해서 실용신안권 침해로 처벌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
특허판례
특허받은 고안(등록고안)과 비슷한 다른 고안이 특허의 보호 범위에 들어가는지 판단할 때, 중요한 구성요소들이 모두 있어야 합니다. 일부만 같고 중요한 부분이 빠져있다면 특허 침해가 아닙니다.
특허판례
새로운 발열체 전력제어회로가 기존에 등록된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지 여부가 쟁점이 된 사건에서, 대법원은 비록 일부 부품이 다르더라도 전체적인 기술 구성과 작동 원리가 유사하다면 기존 고안의 권리범위를 침해한다고 판단했습니다.
특허판례
먼저 출원된 고안(선출원)의 범위를 확장하여 다시 출원하는 '확대된 선출원'에서, 새로운 출원이 기존 출원과 동일한 고안으로 인정받으려면, 단순히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쉽게 생각해낼 수 있는 차이 정도가 아니라, 기술적 구성의 핵심적인 부분이 동일하고 새로운 효과가 없어야 합니다.
특허판례
생산하지 않겠다는 약속만으로는 권리범위확인심판 청구의 이해관계가 소멸하지 않으며, 이미 공지된 고안과 동일한 등록고안은 권리범위가 없다는 판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