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팸 문자, 정말 골칫거리죠. 쉴 새 없이 울리는 알림 소리에 확인해보면 광고 문자! 짜증이 솟구치지만, 대체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야 할지 막막한 경우가 많습니다. 단순히 표시된 번호 주인에게 따져 물으면 될까요? 오늘은 대법원 판례를 통해 스팸 문자 발송에 대한 책임 소재를 명확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재항고인 명의의 전화번호로 수신자 동의 없이 광고 문자가 발송되었습니다. 이에 재항고인은 명의도용을 주장했지만, 원심은 명의도용 증거 불충분으로 과태료 처분을 내렸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원심 판결을 뒤집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2009. 6. 25. 선고 2009도3436 판결)
핵심 쟁점은 두 가지였습니다. 첫째, 수신자 동의 없이 전송된 광고 문자에 표시된 발신번호 이용자가 '정보를 전송한 자' 또는 '정보를 전송하게 한 자'인지, 둘째, 표시된 회신번호 가입 명의자가 과태료 처분 대상인 '정보를 전송하게 한 자'인지 입니다.
대법원은 구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2006. 3. 24. 법률 제791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0조 제2항과 제67조 제1항 제1호(현행 제76조 제1항 제7호 참조)를 근거로 다음과 같이 판단했습니다.
발신번호 조작 가능성: 인터넷이나 휴대전화를 통해 발신번호는 쉽게 조작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표시된 발신번호만으로 '정보를 전송한 자'를 단정 지을 수 없으며, 처분청은 실제 정보 전송에 이용된 진정한 발신번호를 조사해야 합니다.
회신번호 명의자의 책임: 회신번호 명의자라고 해서 무조건 '정보를 전송하게 한 자'로 볼 수는 없습니다. 처분청은 회신번호 개설 경위, 명의인과의 관련성, 요금 납부 방법 등을 조사하여 전송에 관여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법원 또한 이러한 사정을 종합적으로 심리해야 하며, 단순히 명의자라는 사실만으로 책임을 물을 수 없습니다.
결론: 스팸 문자 발송에 대한 책임 소재는 복잡할 수 있습니다. 표시된 번호가 전부가 아니며, 실제 전송에 이용된 번호와 회신번호 명의자의 관여 여부를 꼼꼼히 조사해야 합니다. 이번 판례는 스팸 문자 관련 과태료 부과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스팸 문자로 고통받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형사판례
돈을 벌 목적으로 엑셀 같은 프로그램으로 전화번호를 자동 생성해서 광고 문자를 마구잡이로 보내는 것은 불법입니다.
형사판례
여성의 성기, 자위행위, 성매매 등을 묘사하는 음란 문자메시지를 불특정 다수에게 대량으로 전송한 행위는 정보통신망법 위반(음란물 유포)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법원은 해당 문자메시지가 단순히 저속한 수준을 넘어 사람의 존엄성을 훼손할 정도로 노골적이며, 아무런 사회적 가치도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형사판례
선거를 앞두고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대량으로 전송하는 행위는 선거법 위반(탈법방법에 의한 문서·도화 배부·게시 금지)에 해당한다.
형사판례
통신사가 요금 정산을 위해 수집한 고객의 전화번호를 광고 문자 전송에 사용한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법원은 해당 전화번호가 요금 정산 목적으로 수집되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민사판례
공인인증서를 이용한 대출 사기의 경우, 본인이 직접 대출을 신청하지 않았더라도 공인인증서를 통해 본인확인이 되었다면 대출은 유효하며, 피해자는 대출금을 갚아야 할 책임이 있다는 판결입니다.
형사판례
불안감을 유발하는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행위는 정보통신망법 위반으로 처벌될 수 있으며, 법에서 말하는 "불안감"이라는 표현은 충분히 명확하여 죄형법정주의에 위배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