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과도한 시위 진압으로 시위 참가자가 사망한 사건에서 국가의 배상 책임을 다룬 판례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시위 진압 과정에서 발생한 안타까운 사망 사고, 과연 누구에게 책임이 있을까요? 그리고 그 책임의 정도는 어떻게 될까요? 함께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이 사건은 시위 진압 과정에서 경찰의 과도한 진압으로 시위 참가자가 사망한 사건입니다. 유족들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국가의 손해배상 책임을 인정했습니다. 경찰은 시위 진압 과정에서 합리적이고 상당한 정도를 넘어 지나치게 과도한 방법을 사용했고, 이로 인해 시위 참가자가 사망에 이르렀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그러나 법원은 동시에 사망한 시위 참가자에게도 일부 책임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시위 참가라는 행위 자체가 사망에 이르는 과정에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하여 30%의 과실상계를 인정했습니다. 즉, 국가는 피해액의 70%만 배상할 책임이 있다는 것입니다.
핵심 쟁점:
경찰의 시위 진압 의무: 경찰은 시위 진압 과정에서 최루탄 사용을 최대한 억제하고, 안전하고 평화로운 방법을 사용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는 경찰이 이러한 의무를 다하지 못하고 과도한 진압을 한 것이 문제가 되었습니다.
시위 참가자의 과실: 법원은 시위 참가자 역시 시위 참가라는 행위 자체로 사망에 이르게 된 부분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로 인해 피해자에게도 일부 과실이 있다고 판단하여 배상 책임을 제한한 것입니다.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국가배상법 제2조 제1항: 공무원의 직무상 불법행위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경우,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배상 책임을 진다는 내용입니다.
민법 제396조: 채무불이행으로 손해를 배상할 때, 채권자에게도 과실이 있는 경우 법원은 손해 배상의 책임과 금액을 정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민법 제763조: 공동불법행위자는 연대하여 손해배상 책임을 진다는 내용입니다.
참조판례: 대법원 1994.11.8. 선고 94다25896 판결
판결의 의미:
이 판결은 시위 진압 과정에서 경찰의 과도한 물리력 행사에 대한 경종을 울리는 동시에, 시위 참가자 역시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한 사례입니다. 평화적인 시위 문화 정착과 안전한 시위 진압 방안 마련을 위해 모두가 함께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상담사례
경찰의 시위 진압은 상황에 비해 과도하거나 물리력이 지나치게 강하면 불법이며, 소극적 저항에도 폭력을 행사하면 불법으로 판단될 수 있으므로, 집회·시위 참가자는 과잉진압에 대한 증거를 확보하여 자신의 권리를 지켜야 한다.
민사판례
경찰의 시위 진압 중 시위대가 던진 화염병으로 건물에 불이 나 주민이 손해를 입었더라도, 경찰의 시위 진압 방법이 현저히 불합리하지 않다면 국가는 배상 책임이 없다.
형사판례
여럿이 함께 공무집행을 방해하는 시위 중 일부가 방화하여 사람이 죽거나 다친 경우, 방화에 직접 가담하지 않은 사람도 사망·상해 결과를 예견할 수 있었다면 특수공무방해치사상죄로 처벌받지만, 방화 자체에는 관여하지 않았다면 방화치사상죄로는 처벌받지 않는다.
민사판례
경찰관이 위협이 없는 도주범에게 총을 쏴 사망에 이르게 한 경우, 정당방위나 긴급피난에 해당하지 않아 국가가 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는 판결.
민사판례
집회 참가자들이 사용할 조형물을 실은 차량을 경찰이 도로교통법 위반을 이유로 견인하고, 이에 항의하는 참가자를 체포한 행위에 대해 법원은 경찰의 직무집행이 정당성을 잃은 위법한 행위라고 판단하여 국가의 배상 책임을 인정했습니다.
상담사례
시위 중 시위대가 던진 화염병으로 가게가 불탔지만, 경찰의 과실을 입증하기 어려워 국가 배상 가능성은 낮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