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드디어 꿈에 그리던 내 가게를 갖게 되었습니다! 🎉 기존에 운영되던 가게를 인수하셨나요? 그렇다면 축하와 함께 꼭 기억해야 할 중요한 절차가 있습니다. 바로 영업자 지위승계 신고입니다. 이 신고를 하지 않으면 꽤 큰 곤란을 겪을 수 있으니 꼭 꼼꼼히 확인해주세요!
왜 신고해야 하나요? (식품위생법 제39조)
식품 관련 가게는 위생과 안전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누가 운영하는지 정확히 파악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그래서 가게 주인이 바뀌면 새 주인이 '나 이제 이 가게 운영해요!'라고 관할 관청에 알려야 하는 것이죠. 이것이 바로 영업자 지위승계 신고입니다.
어떤 경우에 신고해야 하나요?
민사집행법
에 따른 경매,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에 따른 환가, 국세징수법
, 관세법
, 지방세징수법
에 따른 압류재산의 매각 등이 있습니다.언제까지, 어디에 신고해야 하나요? (식품위생법 제39조제3항)
가게를 인수한 날로부터 1개월 이내에 시/군/구청 위생부서에 신고해야 합니다. 늦으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을 낼 수도 있습니다! (식품위생법 제97조제1호)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요? (식품위생법 제39조제3항 및 식품위생법 시행규칙 제48조제1항)
가게 이름 바꾸고 싶다면? (식품위생법 시행규칙 제48조제5항)
인수와 동시에 가게 이름이나 상호를 변경하고 싶다면 지위승계 신고를 할 때 함께 신고할 수 있습니다.
신고 후에는? (식품위생법 제39조제4항)
관할 관청은 신고를 받은 후 3일 이내에 신고 수리 여부를 알려줍니다.
새로운 시작을 응원합니다! 꼼꼼한 준비로 성공적인 가게 운영을 시작하세요!
생활법률
식품 관련 사업 인수/상속 시, 1개월 내 영업자지위승계 신고를 해야 하며(미신고 시 처벌), 양도/상속/합병 등의 사유 발생 시 관련 서류와 함께 신고하고, 인수 전 이전 영업자의 행정처분 이력을 확인해야 한다.
생활법률
식당 영업승계는 새 주인이 기존 주인의 권리와 의무를 이어받는 것으로, 승계 후 1개월 이내 관련 서류를 제출하여 신고해야 하며, 승계 전 위반 사항은 1년간 승계되고, 특정 조건 만족 시 증여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형사판례
음식점 등을 인수받아 영업하는 사람은 인수 대금을 다 지급하지 않았거나 전 주인이 필요 서류를 안 줘도 무조건 영업자 지위승계신고를 해야 한다.
생활법률
건물위생관리업 양도, 상속, 합병, 경·공매 등으로 사업 지위를 승계받은 경우 1개월 이내 지위승계 신고를 해야 하며, 미신고 시 벌금 등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형사판례
합법적인 영업자에게서 영업을 넘겨받지 않은 경우, 영업 시설을 인수하고 영업을 하더라도 식품위생법상 영업자 지위 승계 신고 의무가 없다.
일반행정판례
기존 음식점 주인이 영업장 면적을 넓혔지만 신고를 하지 않은 음식점을 인수받아 운영하는 경우, 새로운 주인도 면적 변경 신고를 해야 하며, 하지 않으면 영업정지 등의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