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6.01.12

특허판례

실용신안권 침해 판단, 핵심은 '필수 구성요소'!

실용신안권 침해 분쟁에서 자주 발생하는 질문 중 하나는 "어디까지 보호받을 수 있나?"입니다. 오늘은 실용신안권의 보호범위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와 관련된 판결을 소개하여 그 궁금증을 해결해 드리겠습니다.

사건의 쟁점:

등록된 실용신안의 보호 범위는 어떻게 정해질까요? 그리고 실용신안 출원 당시 등록을 요청한 범위에 기재된 모든 구성요소를 반드시 갖춰야만 보호받을 수 있을까요? 이번 판결은 이 두 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제시합니다.

판결의 핵심:

법원은 실용신안권의 보호 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기준으로 정해진다고 설명했습니다. 즉, 특허청에 실용신안 등록을 요청할 때 어떤 내용을 보호받고 싶다고 적었는지가 중요하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이 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되는 내용은 해당 고안(발명)의 핵심적인 구성요소만 포함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모든 사항은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봐야 한다는 것이 법원의 입장입니다 (실용신안법 제9조 제4항, 제42조, 특허법 제97조 참조).

쉽게 말해, 레고 설명서처럼 실용신안 등록을 요청할 때 제출한 '설명서'에 적힌 모든 부품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다른 사람이 만든 레고가 비슷하더라도, '설명서'에 있는 핵심 부품 중 하나라도 빠져 있다면 실용신안권 침해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이번 판결에서 쟁점이 된 "완력기" 사건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등록된 완력기 실용신안에는 '눈금이 표기된 표시창'과 '이동구에 형성된 지시선'이라는 구성요소가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법원은 이 두 가지 구성요소가 사용자가 원하는 운동량을 조절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비슷한 완력기를 만들었더라도 이 두 가지 구성요소 중 하나라도 빠져 있다면 실용신안권 침해가 아니라고 본 것입니다.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 실용신안법 제9조 제4항, 제42조
  • 특허법 제97조
  • 대법원 2001. 6. 1. 선고 98후2856 판결
  • 대법원 2000. 11. 14. 선고 98후2351 판결
  • 대법원 2001. 9. 7. 선고 99후1584 판결

결론:

실용신안권 침해 여부를 판단할 때, 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모든 구성요소가 중요합니다. 비슷한 제품이라도 핵심 구성요소가 빠져 있다면 침해가 아니라고 판단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용신안권을 확보하고 분쟁을 예방하려면, 등록청구범위에 고안의 핵심 구성요소를 명확하고 정확하게 기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실용신안권 침해 판단, 핵심 구성요소 다 갖춰야 인정!

실용신안권의 보호범위는 특허청에 등록할 때 제출한 서류에 기재된 내용을 기준으로 정해지며, 등록된 실용신안의 모든 구성 요소가 포함되어야만 권리침해로 인정됩니다. 일부 구성 요소만 같다고 해서 권리침해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실용신안권#보호범위#청구항#구성요소

특허판례

내 실용신안, 어디까지 보호받을 수 있을까? - 실용신안권 범위에 대한 오해와 진실

등록된 실용신안의 보호범위는 출원 시 제출한 서류 중 '특허청구범위'에 적힌 내용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특허청구범위에 여러 구성요소가 있다면, 그 요소들이 모두 합쳐진 기술이 보호되는 것이지, 각각의 구성요소가 따로따로 보호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다른 제품이 특허청구범위에 있는 일부 구성요소만 가지고 있고 나머지 중요한 요소들이 없다면, 특허침해가 아닙니다.

#실용신안권#침해#특허청구범위#구성요소

형사판례

실용신안권 침해? 핵심은 '동일성'과 '균등성'에 있다!

실용신안권 침해죄가 성립하려면 침해 대상 물건이 등록된 실용신안과 완전히 똑같거나 매우 유사해야 하는데, 이 판결에서는 침해 대상 물건의 구체적인 기술 구성이 밝혀지지 않아 실용신안권 침해를 인정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실용신안권 침해#균등관계#기술 구성#침해 대상 물건

특허판례

내 디자인 도용?! 특허 침해인지 아닌지 알아보자!

특허받은 고안(등록고안)과 비슷한 다른 고안이 특허의 보호 범위에 들어가는지 판단할 때, 중요한 구성요소들이 모두 있어야 합니다. 일부만 같고 중요한 부분이 빠져있다면 특허 침해가 아닙니다.

#등록고안#권리범위#구성요소#특허침해

민사판례

특허 침해? 핵심 구성요소가 없으면 침해 아닙니다!

특허는 여러 구성요소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전체 기술을 보호하는 것이지, 각각의 구성요소를 따로 보호하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특허의 핵심 구성요소 중 일부만 사용하고 나머지는 사용하지 않은 제품은 특허 침해가 아닙니다.

#특허침해#구성요소#전체기술#권리범위

특허판례

실용신안권의 권리범위, 어디까지 보호받을 수 있을까?

실용신안권의 보호 범위는 출원서의 청구 범위에 기재된 내용을 기준으로 정해지며, 문맥과 상황을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해석해야 한다. 특히, 종속항처럼 보이는 문구라도 실제로는 독립적인 권리를 주장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실용신안권#범위해석#청구범위#종속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