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5.01.15

형사판례

실용신안권 침해? 핵심은 '동일성'과 '균등성'에 있다!

내 물건이 특허를 침해했다고? 억울해! 😥 실용신안권 침해는 흔히 발생하는 분쟁 중 하나입니다. 어떤 경우에 실용신안권 침해가 인정될까요? 대법원 판례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실용신안권 침해의 두 가지 핵심 요건

실용신안권 침해 여부를 판단하는 핵심은 바로 **'동일성'**과 **'균등성'**입니다.

  1. 동일성: 내가 만든 물건이 등록된 실용신안의 모든 구성 요소와 완전히 똑같다면? 당연히 침해가 인정됩니다. 등록된 실용신안과 내 물건을 꼼꼼하게 비교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2. 균등성: 내 물건이 등록된 실용신안과 약간 다르더라도 침해가 인정될 수 있습니다. 다음 세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균등한 관계'로 인정됩니다.

    • 과제 해결 원리 동일: 등록된 실용신안과 내 물건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원리가 같아야 합니다.
    •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효과: 내 물건이 등록된 실용신안과 거의 동일한 효과를 내야 합니다.
    • 통상의 지식으로 변경 가능: 해당 기술 분야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등록된 실용신안을 보고 내 물건처럼 쉽게 변경할 수 있어야 합니다. 특별한 기술이나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필요했다면 균등성이 인정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대법원 판례 분석 (2006도9213, 2012도3583)

대법원은 실용신안권 침해를 판단할 때 위 두 가지 요소를 중요하게 고려합니다. 특히, 단순히 이름이나 외관이 비슷하다고 침해가 인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제품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이 등록된 실용신안과 동일한지, 혹은 균등한 관계에 있는지를 꼼꼼하게 따져봐야 합니다.

위 판례에서 대법원은 피고인이 생산한 '3차원 입체시트'가 등록된 실용신안을 침해했는지 여부를 다투었습니다. 대법원은 해당 물품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을 알 수 없어 등록된 실용신안과 동일한지, 균등한 관계에 있는지 판단할 수 없다는 이유로 원심 판결을 파기했습니다. 즉, 침해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기술적 구성에 대한 명확한 증거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관련 법 조항: 실용신안법 제45조 제1항

실용신안법 제45조 제1항은 실용신안권 침해에 대한 규정을 담고 있습니다. 실용신안권자는 자기의 권리를 침해한 자에 대해 침해금지 또는 예방을 청구할 수 있으며, 침해행위에 의하여 생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결론

실용신안권 침해는 복잡한 법적 판단이 필요한 문제입니다. 내 물건이 다른 사람의 실용신안권을 침해하지 않는지, 혹은 내 실용신안권을 누군가 침해하고 있지는 않은지 꼼꼼하게 확인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실용신안권 침해 판단, 핵심 구성요소 다 갖춰야 인정!

실용신안권의 보호범위는 특허청에 등록할 때 제출한 서류에 기재된 내용을 기준으로 정해지며, 등록된 실용신안의 모든 구성 요소가 포함되어야만 권리침해로 인정됩니다. 일부 구성 요소만 같다고 해서 권리침해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실용신안권#보호범위#청구항#구성요소

특허판례

내 실용신안, 어디까지 보호받을 수 있을까? - 실용신안권 범위에 대한 오해와 진실

등록된 실용신안의 보호범위는 출원 시 제출한 서류 중 '특허청구범위'에 적힌 내용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특허청구범위에 여러 구성요소가 있다면, 그 요소들이 모두 합쳐진 기술이 보호되는 것이지, 각각의 구성요소가 따로따로 보호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다른 제품이 특허청구범위에 있는 일부 구성요소만 가지고 있고 나머지 중요한 요소들이 없다면, 특허침해가 아닙니다.

#실용신안권#침해#특허청구범위#구성요소

민사판례

특허 침해, 어디까지 인정될까? - 균등침해와 청구취지 특정

특허의 일부 구성이 다르더라도 핵심 기술사상이 같고, 그 차이가 일반적인 기술자가 쉽게 생각해낼 수 있는 정도라면 특허침해로 인정될 수 있다. 특허침해 금지 소송에서는 사회통념상 침해 대상을 구별할 수 있을 정도로만 특정하면 된다.

#특허 균등침해#판단 기준#금지청구#특정

특허판례

특허 침해 판단, 핵심은 '기술사상'

특허 침해 여부를 판단할 때, 특허받은 발명과 비교 대상 발명이 완전히 동일하지 않더라도, 기술적인 핵심이 같고 쉽게 변경 가능한 차이만 있다면 침해로 인정될 수 있다는 균등론에 대한 판례입니다.

#특허 침해#균등론#과제 해결 원리 동일#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효과

특허판례

실용신안권 침해와 권리범위 확인심판

실용신안권 침해로 고소당한 사람이 권리자와 합의를 했다고 하더라도, 그 합의 내용이 권리범위를 인정하거나 확인심판 청구를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면 여전히 권리범위확인심판을 청구할 수 있다. 또한, 실용신안권의 보호범위는 등록청구 범위에 기재된 내용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

#실용신안권#침해#합의#권리범위확인심판

민사판례

특허 침해, 어디까지 인정될까? - 균등침해와 그 판단 기준

특허 침해 여부를 판단할 때, 똑같이 만들지 않았더라도 비슷하게 만들어 특허의 핵심 아이디어를 베꼈다면 침해로 볼 수 있는데, 이를 "균등침해"라고 합니다. 이 판례는 균등침해가 성립하기 위한 세부적인 조건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특허침해#균등침해#과제해결원리#작용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