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6.07.12

특허판례

아식스, 리복 상표 분쟁 승소! - 도형과 문자 결합상표, 유사 판단은 어떻게?

스포츠 브랜드 간 상표 분쟁은 흔한 일이죠. 오늘은 리복과 아식스의 상표 분쟁 사례를 통해 상표의 유사 여부를 어떻게 판단하는지, 특히 도형과 문자 결합상표의 경우는 어떤 기준을 적용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리복은 특정 도형을 상표로 출원했는데, 특허청은 이미 등록된 아식스 상표와 유사하다는 이유로 거절했습니다. 아식스 상표는 리복이 출원한 도형과 유사한 도형에 'ASICS'라는 문자가 결합된 형태였습니다. 리복은 이에 불복하여 소송을 제기했고, 대법원까지 가는 공방 끝에 승소했습니다.

대법원은 왜 리복의 손을 들어줬을까요?

핵심은 상표의 유사 여부 판단 기준, 그리고 도형과 문자 결합상표에서 문자의 중요성입니다.

1. 상표 유사 여부 판단 기준:

상표의 유사 여부는 단순히 일부분만 닮았다고 결정되는 것이 아닙니다. 외관, 칭호(부르는 이름), 관념(떠오르는 이미지) 이 세 가지 측면을 전체적, 객관적, 이격적으로 관찰해야 합니다. '이격적'이란 실제 상품을 구매하는 상황처럼 일정한 거리를 두고 판단한다는 의미입니다. 즉, 하나의 요소가 유사하더라도 전체적으로 봤을 때 소비자가 혼동할 가능성이 없다면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합니다. (관련 법조항: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7호, 관련 판례: 대법원 1994. 9. 9. 선고 94후1077 판결, 대법원 1995. 5. 26. 선고 95후64 판결, 대법원 1996. 4. 9. 선고 95후1692 판결)

2. 도형과 문자 결합상표에서 문자의 중요성:

도형과 문자가 결합된 상표에서, 도형이 특별한 의미를 갖지 않는다면 일반적으로 문자 부분이 상표의 칭호와 관념을 결정합니다. 아식스 상표의 도형은 특별한 의미가 없었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이 상표를 '아식스'라고 부르고 인식할 것입니다.

이 사건에서 대법원은 아식스 상표의 도형 부분만 떼어놓고 리복의 도형 상표와 비교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판단했습니다. 아식스 상표는 '아식스'라는 문자 때문에 리복의 순수 도형 상표와 칭호와 관념이 명확히 다르므로, 전체적으로 보면 유사하지 않다는 결론입니다.

결론적으로, 이 판례는 상표 유사 여부 판단의 기본 원칙을 재확인하고, 도형과 문자 결합상표에서 도형이 특별한 의미를 갖지 않을 경우 문자 부분이 상표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기능한다는 점을 명확히 한 중요한 판례입니다. 상표 출원을 준비하시는 분들은 이 판례를 참고하여 상표의 유사 여부를 꼼꼼히 검토해야 불필요한 분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두 개의 선, 같은 듯 다른 느낌? 상표 유사 여부는?

비슷해 보이는 두 개의 선 도형 상표가 실제로는 유사하지 않다고 판결난 사례. 특허청은 두 상표가 유사하다고 판단했지만, 대법원은 소비자에게 주는 전체적인 느낌이 다르다고 판단하여 출원상표의 등록을 허용했습니다.

#상표#유사#불인정#대법원

특허판례

가방에 붙은 비슷한 'B' 모양, 상표권 침해일까?

두 개의 가방 상표가 전체적인 모양과 느낌이 비슷해서 소비자들이 헷갈릴 수 있다면, 세부적인 차이가 있더라도 유사한 상표로 봐야 한다.

#가방 상표#유사#소비자 혼동#전체적 인상

형사판례

말 그림과 '대한익스프레스'는 닮았을까? 상표 유사성 판단 이야기

그림과 특정 문자가 결합된 등록상표가 있을 때, 그 문자 부분만 따로 사용한 경우, 문자 자체의 식별력이 약하다면 두 상표는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

#그림문자 결합상표#문자부분 사용#상표유사성 부정#식별력 약함

특허판례

닻 모양 도형상표, 유사할까요? 안 유사할까요?

티셔츠 등 의류에 사용되는 닻 모양의 두 도형상표가 세부적인 디자인 차이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인상이 유사하여 소비자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는 이유로 유사 상표로 판단되었습니다.

#도형상표#유사상표##소비자 혼동

형사판례

도형 상표, 유사한가요? 그리고 상표 vs. 디자인, 어떻게 구분할까요?

다른 회사의 등록상표와 유사한 도형을 슬리퍼에 사용한 행위는 상표권 침해로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해당 도형이 의장등록 되었다 하더라도, 상품 출처 표시를 위해 사용되었다면 상표로 인정됩니다.

#도형상표#상표권침해#유사성#의장등록

특허판례

상표의 유사 판단, 전체적인 모습을 봐야죠!

두 상표에 비슷한 핵심 부분이 있더라도, 전체적인 디자인을 고려했을 때 소비자가 헷갈릴 정도로 유사하지 않다면 유사 상표로 인정되지 않는다.

#상표 유사성#전체 디자인#소비자 혼동#동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