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요즘처럼 아이 키우기 힘든 시대, 다자녀 가구에 대한 지원은 필수죠! 하지만 다자녀 가구의 기준도, 지원 내용도 너무 복잡해서 뭐가 뭔지 모르겠다고요? 걱정 마세요! 이 글 하나로 다자녀 가구 지원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해결해 드립니다.
다자녀 가구, 몇 명부터일까?
흔히 "세 자녀 이상"을 떠올리지만, 저출산 시대에 발맞춰 두 자녀 이상 가구에도 혜택을 주는 경우가 늘고 있어요. 따라서 정확한 기준은 각 법령이나 정책, 지자체 조례를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핵심 법령들을 살펴보면,
이처럼 법령마다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원하는 혜택의 관련 법령을 꼭 확인해보세요!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을까?
다자녀 가구를 위한 지원은 정말 다양합니다. 출산부터 양육, 교육, 주거, 세금 감면까지! 주요 지원 내용을 정리해봤습니다.
내게 맞는 혜택 찾는 꿀팁!
다자녀 가구를 위한 다양한 혜택, 꼼꼼히 챙겨서 알뜰하게 활용하세요! 이 글이 여러분의 육아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생활법률
미성년 자녀 둘 이상인 무주택세대구성원은 다자녀 특별공급(일반 10%, 필요시 최대 15%)을 통해 내 집 마련 기회를 얻을 수 있으며, 공공분양(85㎡ 이하)의 경우 소득 기준 충족이 필요하다.
생활법률
미성년 자녀 2명 이상인 무주택세대구성원은 다자녀가구 주택 특별공급을 통해 청약 경쟁 없이 주택을 분양받을 수 있으며, 자격 요건(자녀, 청약통장, 소득), 선정 기준(자녀 수, 무주택 기간 등), 신청 방법 등을 확인해야 한다.
생활법률
다자녀 가정은 국민연금 가입기간 추가 인정(최대 50개월), 3자 이상 가구 전기요금 할인, 18세 미만 자녀 3명 이상 가정의 차량 취득세 감면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생활법률
미성년 자녀 2명 이상인 무주택세대구성원은 국민주택 특별공급(다자녀 특공)을 통해 주택 청약 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소득기준 및 필요서류 조건 있음)
생활법률
만 18세 미만 자녀 3명 이상 양육하는 다자녀 가정은 2024년 12월 31일까지 등록하는 차량 1대에 대해 취득세 감면(차종별 상이)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특정 조건 하에 대체 취득 및 소유권 이전 시에도 혜택 유지 가능하지만, 1년 이내 매도 시 추징될 수 있음.
생활법률
다자녀 가구의 주택 구입 부담 완화를 위해 정부는 내집마련 디딤돌 대출(최대 4억원, 금리 최저 1.5%), 주거안정 구입자금 대출(최대 2억원), 오피스텔 구입자금 대출(최대 7천만원)을 지원하며, 다자녀 우대금리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