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0.01.14

민사판례

아파트 관리비, 새 주인에게 승계집행문으로 받아낼 수 있을까?

아파트 관리비를 내지 않고 집을 판 이전 소유자! 새로운 소유주에게 승계집행문을 통해 미납 관리비를 받아낼 수 있을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대법원 판례를 소개해 드립니다.

사건의 개요

어떤 아파트에서 이전 소유주가 관리비를 내지 않고 집을 팔았습니다. 아파트 관리단은 새 소유주에게 이전 소유주의 미납 관리비를 청구하기 위해 승계집행문을 신청했습니다. 하지만 법원은 승계집행문 부여를 거부했고, 이에 관리단은 특별항고를 제기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특별항고를 기각했습니다. 핵심 논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특별항고의 제한: 특별항고는 헌법 위반 등 특별한 사유가 있어야 가능합니다. 단순한 법률 위반만으로는 특별항고를 할 수 없습니다 (민사소송법 제449조 제1항).

  2. 중첩적 채무인수: 아파트(집합건물)의 경우, 새 소유주는 이전 소유주의 채무를 중첩적으로 인수합니다. 즉, 이전 소유주의 채무는 그대로 남아있고, 새 소유주는 별도로 자신이 소유한 기간 동안의 채무를 부담하는 것입니다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18조, 민법 제454조). 대법원은 이전 판례(대법원 2002. 9. 24. 선고 2002다36228 판결, 대법원 2008. 12. 11. 선고 2006다50420 판결)에서도 이러한 입장을 밝힌 바 있습니다.

  3. 승계집행문 부여 요건: 승계집행문은 채무를 면책적으로 인수한 경우에만 발부됩니다. 면책적 인수란 이전 채무자가 채무에서 완전히 벗어나고 새 채무자가 그 채무를 전부 떠안는 것을 의미합니다. 중첩적 인수의 경우, 이전 채무자의 채무가 소멸하지 않으므로 승계집행문을 발부할 수 없습니다 (민사집행법 제31조 제1항).

결론

아파트 관리비와 같이 집합건물법 제18조에 따라 중첩적으로 채무를 인수하는 경우에는, 새 소유주에게 승계집행문을 통해 이전 소유주의 미납 관리비를 청구할 수 없습니다. 이전 소유주에게 직접 청구해야 합니다.

이 판례는 아파트 관리비와 관련된 분쟁에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아파트 소유주와 관리단 모두 이 판례의 내용을 숙지하여 불필요한 법적 분쟁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아파트 관리비, 누가 내야 할까요? 전 소유주 체납 관리비 승계 문제!

아파트(집합건물)를 매수했는데, 이전 소유자가 관리비를 내지 않고 갔다면 새 소유주는 어디까지 책임져야 할까요? 이 판례는 공용부분 관리비에 한해 승계 의무가 있으며, 연체료는 승계되지 않는다는 것을 명확히 합니다. 또한, 관리단이 체납 관리비를 이유로 단전/단수 조치를 하는 것은 위법이며, 그 기간 동안의 관리비는 낼 필요가 없다는 것을 밝힙니다.

#아파트 관리비 승계#공용부분 관리비#연체료 미승계#단전/단수 위법

상담사례

😱 경매 낙찰 아파트, 전 소유자 관리비 폭탄 피하는 법! 💣

경매 낙찰 아파트의 전 소유자 체납 관리비는 공용부분에 한해서만 새 소유자가 인수하며, 전기/수도 등 개별 사용 부분과 연체료는 부담할 필요 없다.

#경매 아파트#체납 관리비#공용부분#개별 사용 부분

민사판례

아파트 체납 관리비, 새로 이사 온 사람도 내야 할까?

이전 집주인이 미납한 아파트 관리비를 새로 이사 온 사람이 내야 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결론적으로, 새 집주인은 **전 집주인이 미납한 관리비 중 아파트 공용 부분에 해당하는 관리비만** 납부할 의무가 있습니다. 개인이 사용하는 전유 부분에 대한 체납 관리비는 낼 필요가 없습니다.

#체납관리비#새집주인#공용부분#전유부분

민사판례

아파트 중간에 팔았어도, 전 주인 체납 관리비 내야 할까?

아파트를 팔았더라도 이전 소유자의 공용부분 체납 관리비를 납부해야 할 책임이 있다.

#아파트#공용부분#체납 관리비#중첩적 채무인수

민사판례

아파트 체납 관리비, 새로 이사 온 사람은 얼마나 내야 할까요?

아파트를 구매했을 때 이전 소유자가 내지 않은 관리비 중 **공용부분 관리비만** 새 소유주가 내야 하며, 연체료는 낼 필요 없다. 또한, 관리비는 1개월 단위로 발생하는 채권이므로 3년이 지난 체납 관리비는 낼 필요가 없다.

#아파트#체납관리비#새소유주#공용부분

상담사례

아파트 샀는데, 전 주인 관리비 연체료까지 내야 하나요? 🤯

아파트 매수 시 전 주인의 미납 공용부분 관리비는 승계하지만, 연체료는 승계되지 않아 새 주인이 납부할 필요 없다.

#아파트 매매#관리비#연체료#공용부분 관리비